"진정한 아름다움"

  • 등록 2021.04.24 10:00:47
  • 조회수 29
크게보기

"진정한 아름다움"

 

신현미 (수필가, 아동문학가)

현 안산문인협회 회장

 

19세기 프랑스 화가 장레오 제롬의 그림 <판사들 앞의 프리네>의 주인공 프리네는 포세이돈을 기리는 제례에서 바다의 신 아프로디테의 모델이 되었다는 이유로 신성모독죄로 고발당하여 사형당할 위기에 처한다. 그러자 그녀의 변호를 자처한 히피리데스는 “프리네는 아름다우니 선처해달라”며 심판관들 앞에서 그녀의 옷을 벗겨버렸다. 그녀의 알몸을 본 심판관들은 그 황홀한 모습에 반하여 “아름다운 것은 모두 선하다”며 무죄 판결을 내렸다.

 

1987년 대한항공 폭파범 김현희를 기억하는가? 그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여러 논란이 있지만, 그 당시 백여 명을 죽음에 몰고 간 폭파범의 모습을 보고 다들 깜짝 놀랐다. 연약한 여자가 어떻게 그리 잔인한 일을 할 수 있었을까 해서고 예뻐도 너무 예뻐서이다. 죽이기에 아까울 정도의 미모라는 여론과 함께 실제 그녀는 사형당하지 않았고 몇 년 후 풀려났다.

 

요즘 연예인들은 어쩜 그렇게 다들 마네킹 같은 얼굴과 몸매를 하고 있는지 신기하다. 아이돌뿐만 아니라 중견의 배우들조차 매끈한 방부재 미모를 보인다. 주변에서도 연예인급 외모를 가진 이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예쁘면 다 용서된다”는 진심 담긴 농담도 돌고 돈다.

 

남녀노소를 떠나 예쁜 사람을 누가 좋아하지 않겠는가. 단지 아름다운 것은 모두 선하다, 예쁘니까 다 용서된다는 남성 기준의 말들이 살짝 심기를 불편하게 할 뿐이다. 예쁘고 날씬하면 자기관리 잘 한다며 극찬하고, 덜 예쁘거나 통통하기만 해도 게으른 사람으로 폄하하다보니 불경기에도 각종 뷰티샵들은 여기저기서 성행중이다.

 

공부하느라 외모에는 관심 없을 것 같은 중고등학생들도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소식을 하고, 방학기간 성형은 줄을 잇는다. 자칫 외모지상주의로 빠져 내적인 부분과 개성을 잃을까 우려된다. 모두가 다 예뻐진다면 안 예쁜 것이 예쁜 것이 될 수도 있다. 쌍꺼풀 없는 작은 눈의 연예인들이 두각을 나타내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화무십일홍이라 했다. 열흘 붉은 꽃이 없다. 즉 미모, 젊음, 권력은 반드시 쇠하여짐을 비유하는 말이다. 외형적인 것은 아무리 고친다 해도 쇠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마음은 더욱 아름답게 성숙시켜 나갈 수 있다. 타인의 눈을 의식하며 외관에만 신경 쓰는 이들보다는 자기성찰과 봉사 등 내적 성숙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 진정 아름다운 사람이 아닐까?

 

1950~60년대를 풍미했던 세기의 여배우 엘리자베스 테일러와 오드리 헵번은 젊은 시절에는 절세미모로 만인의 가슴을 설레게 했다. 하지만 이들의 노년 모습은 많이 달랐다. 외면의 아름다움만 추구했던 엘리자베스 테일러는 성형, 알콜중독, 여덟 번의 결혼 등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모습으로 비쳐지다 갔고, 오드리 헵번은 유니세프 특별대사로 어렵고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며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다 갔다.

 

주름이 자글자글한 오드리 헵번의 노년 사진이 가장 아름다운 얼굴로 뽑히는 것을 보면, 진정한 아름다움은 외적인 것이 아니라 내면의 성숙함에서 나오는 것 같다. 외적인 아름다움은 언젠가는 쇠하지만 내적 아름다움은 영원히 쇠하지 않는다. 그러니 우리도 진정한 아름다움을 위해 노력해 나가야 하지 않겠는가.

신현미 (수필가, 아동문학가)
Copyright @2013 참좋은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로 120, 401호(고잔동, 세주빌딩) 등록번호: 경기 다50387 | 등록일 : 2013-09-30 | 발행인 : 신연균 | 편집인 : 김태형 | 전화번호 : 010-2647-6908 Copyright @2013 참좋은뉴스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