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광명시 민관이 함께 가꾼 ‘마음정원’문 열어, 광명시-대한적십자사-기아, 어르신 마음건강 위한 치유정원 조성

  • 등록 2025.11.14 22:50:02
  • 조회수 0

14일 오후 구름산 산림욕장 입구에서 ‘기아와 함께하는 마음정원’ 준공식 개최

 

[참좋은뉴스= 기자] 광명시에 민관 힘을 합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가치를 실현한 정원이 문을 열었다.

 

시는 14일 오후 구름산 산림욕장 입구에서 ‘기아와 함께하는 마음정원’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번에 개방한 마음정원은 광명시 최초 민관협력 정원으로, 어르신들의 인지건강과 정신건강을 함께 돌볼 수 있는 치유형 정원이다. 구름산 산림욕장 입구인 하안동 산 141-3 일원에 350㎡ 규모로 조성했다.

 

이번 사업은 민관협력으로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든 ‘광명 ESG 액션팀’ 소속인 광명시, 대한적십자사 경기도지사(회장 이재정), 기아 오토랜드 광명(공장장 강동원)이 치매, 우울감 등 어르신 정신건강 문제 개선을 위해 힘을 모았다는 데 의미가 있다. 사회적·환경적 가치를 실현한 ESG 협력 모범사례를 보여준다.

 

기아 오토랜드 광명은 정원 조성 사업비 1억 원을 대한적십자사에 기부했고, 대한적십자사는 정원 조성 공사를 맡았다. 광명시는 부지와 행정적 지원을 제공해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뒷받침했다.

 

정원은 ▲사계절의 변화를 따라 걷는 산책형 공간인 ‘기억을 걷는 정원’ ▲흙과 향, 촉감으로 오감을 일깨우는 치유의 공간 ‘감각을 되살리는 정원’ ▲ 이웃 간 소통이 가능한 열린 쉼터인 ‘작은마을 정원’ 등 세 구간으로 구성했다.

 

특히 광명시치매안심센터 치매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어르신들의 의견을 반영해, 어린 시절의 추억을 떠올릴 수 있는 한국 자생식물과 고유종을 식재하는 등 정서적 공감을 고려했다.

 

또한 완만한 경사로를 설치하고 계단 폭을 넓히는 등 어르신들의 이동 편의와 안전을 세심하게 배려해 공간을 설계했다.

 

앞으로 심리 치유를 위한 원예·정원 테라피 프로그램을 운영해 시민과 함께 가꾸는 치유형 소통 정원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지역사회의 필요와 기업의 사회적 가치에 행정의 지원이 더해져 의미 있는 결실을 맺었다”며 “앞으로도 ESG 가치를 실현하는 협력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시민 삶의 질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재정 회장은 “민관이 함께 만든 이 정원이 단순한 쉼터를 넘어 시민의 마음을 돌보는 치유의 공간이 되길 바란다”며 “이번 사업이 ESG 협력의 모범사례로 확산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강동원 공장장은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것이 기아의 ESG 경영 철학”이라며 “마음정원이 어르신께 위로가 되고, 시민 모두가 함께 누리는 치유공간으로 자리 잡길 바란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경기도 광명시]


정치

더보기
안산시 상업용 현수막지정게시대 민간위탁 동의안 부결
[참좋은뉴스= 김태형 기자] 지난 11월27일부터 31일까지 개최된 안산시의회(의장 박태순) 제299회 임시회에서 가장 주목받는 사안은 단연 ‘안산시 상업용 현수막지정게시대 민간위탁 동의안’일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 동의안은 부결됐다. 이미 시민들의 저항이 심할 것임이 예견된 안건이었다. 안산시민사회연대는 10월23일, “시민의 신뢰를 저버리는 행정, 특혜와 비리의 고리를 다시 이어서는 안 된다”며 ‘안산시 상업용 현수막게시대 민간위탁 추진 철회 촉구’ 성명서를 발표한 바 있다. 안산시민사회연대는 성명서를 통해 “현수막게시대의 민간위탁은 이미 안산시 행정의 부패 구조와 관언 유착의 상징으로 기록돼 있다. 이러한 역사적 교훈을 외면한 채 다시 위탁을 추진한다면, 안산시는 ‘청렴과 시민감동’을 내건 시정 철학을 스스로 부정하는 셈이다”라며 “수많은 문제점이 연이어 발생했다. ▲현수막 제작이익 독점 의혹, ▲특정업체의 장기 게시, ▲게시기간 초과 및 신고수수료 누락, ▲지정공간 외 게시 등 각종 불법과 특혜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심지어 선거 시기에는 특정 언론사와 업체의 결탁을 통한 정치적 개입과 공직선거법 위반 의혹까지 드러나며 시민사회의 분노를 샀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