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진정한 아름다움"

"진정한 아름다움"

 

신현미 (수필가, 아동문학가)

현 안산문인협회 회장

 

19세기 프랑스 화가 장레오 제롬의 그림 <판사들 앞의 프리네>의 주인공 프리네는 포세이돈을 기리는 제례에서 바다의 신 아프로디테의 모델이 되었다는 이유로 신성모독죄로 고발당하여 사형당할 위기에 처한다. 그러자 그녀의 변호를 자처한 히피리데스는 “프리네는 아름다우니 선처해달라”며 심판관들 앞에서 그녀의 옷을 벗겨버렸다. 그녀의 알몸을 본 심판관들은 그 황홀한 모습에 반하여 “아름다운 것은 모두 선하다”며 무죄 판결을 내렸다.

 

1987년 대한항공 폭파범 김현희를 기억하는가? 그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여러 논란이 있지만, 그 당시 백여 명을 죽음에 몰고 간 폭파범의 모습을 보고 다들 깜짝 놀랐다. 연약한 여자가 어떻게 그리 잔인한 일을 할 수 있었을까 해서고 예뻐도 너무 예뻐서이다. 죽이기에 아까울 정도의 미모라는 여론과 함께 실제 그녀는 사형당하지 않았고 몇 년 후 풀려났다.

 

요즘 연예인들은 어쩜 그렇게 다들 마네킹 같은 얼굴과 몸매를 하고 있는지 신기하다. 아이돌뿐만 아니라 중견의 배우들조차 매끈한 방부재 미모를 보인다. 주변에서도 연예인급 외모를 가진 이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예쁘면 다 용서된다”는 진심 담긴 농담도 돌고 돈다.

 

남녀노소를 떠나 예쁜 사람을 누가 좋아하지 않겠는가. 단지 아름다운 것은 모두 선하다, 예쁘니까 다 용서된다는 남성 기준의 말들이 살짝 심기를 불편하게 할 뿐이다. 예쁘고 날씬하면 자기관리 잘 한다며 극찬하고, 덜 예쁘거나 통통하기만 해도 게으른 사람으로 폄하하다보니 불경기에도 각종 뷰티샵들은 여기저기서 성행중이다.

 

공부하느라 외모에는 관심 없을 것 같은 중고등학생들도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소식을 하고, 방학기간 성형은 줄을 잇는다. 자칫 외모지상주의로 빠져 내적인 부분과 개성을 잃을까 우려된다. 모두가 다 예뻐진다면 안 예쁜 것이 예쁜 것이 될 수도 있다. 쌍꺼풀 없는 작은 눈의 연예인들이 두각을 나타내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화무십일홍이라 했다. 열흘 붉은 꽃이 없다. 즉 미모, 젊음, 권력은 반드시 쇠하여짐을 비유하는 말이다. 외형적인 것은 아무리 고친다 해도 쇠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마음은 더욱 아름답게 성숙시켜 나갈 수 있다. 타인의 눈을 의식하며 외관에만 신경 쓰는 이들보다는 자기성찰과 봉사 등 내적 성숙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 진정 아름다운 사람이 아닐까?

 

1950~60년대를 풍미했던 세기의 여배우 엘리자베스 테일러와 오드리 헵번은 젊은 시절에는 절세미모로 만인의 가슴을 설레게 했다. 하지만 이들의 노년 모습은 많이 달랐다. 외면의 아름다움만 추구했던 엘리자베스 테일러는 성형, 알콜중독, 여덟 번의 결혼 등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모습으로 비쳐지다 갔고, 오드리 헵번은 유니세프 특별대사로 어렵고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며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다 갔다.

 

주름이 자글자글한 오드리 헵번의 노년 사진이 가장 아름다운 얼굴로 뽑히는 것을 보면, 진정한 아름다움은 외적인 것이 아니라 내면의 성숙함에서 나오는 것 같다. 외적인 아름다움은 언젠가는 쇠하지만 내적 아름다움은 영원히 쇠하지 않는다. 그러니 우리도 진정한 아름다움을 위해 노력해 나가야 하지 않겠는가.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