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성호사설 제2권 / 천지문(天地門) (제 61화)

 

성호사설 제2권 / 천지문(天地門) (제 61화)

 

지구(地球)

[원문]

地毬上下有人之說至西洋人始詳近世或薦李時言有將才金荷潭謂吾聞某崇信西說此猶不知其非况窺敵制變耶荷潭素稱明智多所臆中而此猶不知其然則其識之不深可想金叅判始振亦深非其說南斯文克寬著說辨之云今有一卵蟻従皮殼上周行不墜人居地面何以異是余謂南之誚金以非攻非也蟻附扵卵能無墜者以蟻足粘著也今有䖝豸緣壁失足便墜何以曉人此冝以地心論従一㸃地心上下四旁都湊向內觀地毬之大懸在中央不少移動可以推測也卵在地毬一面卵亦離地便墜下矣卵之下面顧可以附行耶

ⓒ 성호기념관

 

[번역문]

지구 아래 위에 사람이 살고 있다는 말은 서양(西洋) 사람들에 의하여 비로소 자세히 알게 되었다.

 

근세(近世)에 어떤 사람이 이시언(李時言)을 천거하면서, “훌륭한 장재(將才)가 있다.” 하니, 김하담(金荷潭 하담은 호. 이름은 시양(時讓))은 말하기를, “내가 들으니 ‘아무개는 서양의 학설을 믿는다.’ 하니, 이 사람은 서양 학설의 잘못된 줄도 모르거든 하물며 적진을 엿보고 적의 행동을 제지할 수 있느냐?” 하였다.

 

하담은 본래 밝고 슬기로워서 그의 계획대로 들어맞는 일이 많다고 이름이 있는 사람이다. 그런데 여기에 대하여 그렇게도 모르니 그의 학식이 깊지 못한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참판(參判) 김시진(金始振)도 지구 아래 위에 사람이 살고 있다는 말을 몹시 그르게 여겨서 남극관(南克寬)이 글을 지어 변명하기를, “여기에 계란(鷄卵) 한 개가 있는데 개미가 계란 껍데기에 올라가 두루 돌아다녀도 떨어지지 않으니 사람이 지면에서 사는 것이 이것과 무엇이 다르랴?” 하였다.

 

나는 남극관이 김시진을 나무란 것은 잘못된 말로 잘못을 공격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개미가 계란 껍질에서 돌아다녀도 떨어지지 않는 것은 개미의 발이 잘 달라붙는 때문이다. 여기에 발이 없는 벌레가 있어서 벽에 기어올라가다가 꿈틀하면 당장 떨어지고 마니 이런 비유를 가지고 어떻게 다른 사람을 깨우쳐 줄 것인가?

 

이 문제는 마땅히 지심론(地心論)은 따라야 할 것이다. 일점(一點)의 지심에는 상하 사방이 모두 안으로 향하여 있어서 큰 지구가 중앙에 달려 있음을 볼 수 있으니 조금도 움직이지 않는 것은 추측해 알 수 있는 것이다.

 

계란은 지구 한쪽에 붙어 있으니 계란도 지구를 뜨기만 하면 당장 떨어지고 만다. 그렇다면 계란 밑에도 개미가 기어 다닐 수 있겠는가?

 

[주-D001] 지구(地球) :

《類選》 卷1下 天地篇下 地理門. 《五洲》 卷1 地毬運轉辨證說ㆍ卷10 地毬小人心大辨證說ㆍ卷28 地毬辨證說. 《明南樓》 推測錄 卷2(地球右旋).

ⓒ 한국고전번역원 | 임창순 정소문 홍찬유 (공역) | 1977

 

우리 참좋은뉴스신문사에서는 안산의 대표적인 성리학의 대가인 성호 이익 선생에 대한 유고집인 성호사설을 연재하기로 결정하고 한국고전번역원과 합의하에 성호사설 제1권부터 원문은 물론 번역문을 편집하여 게재하기로 하였다.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