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전 세계 150만 관객이 선택한 뮤지컬 ‘크리스마스 칸타타’

영화 <For Unto Us>로 재탄생하다!

 

[참좋은뉴스= 김태형 기자]

 

코로나 팬데믹으로 어려운 사람들 마음에 따뜻한 크리스마스를 선물해 주는 영화 <For Unto Us>가 12월 전 세계 관객들을 만난다.

 

 

<For Unto Us>는 매년 많은 사랑을 받아온 그라시아스합창단의 공연, <크리스마스 칸타타>를 각색해 제작된 영화로 우리에게 친숙한 We Wish You a Merry Christmas, O Tannenbaum, Handel’s Oratorio “Messiah” 등 캐럴과 클래식 명곡도 그라시아스합창단만의 맑은 음색으로 만날 수 있다.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탄생’을 주제로 한 <For Unto Us>는 BC 4년 경, 로마 제국의 식민지였던 이스라엘을 배경으로 로마군 횡포 속에서 자신을 구해줄 메시아를 간절히 기다리며 예수님의 탄생을 맞는 스토리까지 전개되어 곧 오소서 임마누엘, At the Kingdom of Herod, 그 여관엔 예수님 방이 없고, Carol of The Kings 외 다수의 곡으로 스토리가 이어진다.

 

 

미국 CTN, 러시아 TBN을 비롯해 코스타리카 엔라세 TV, 보츠와나 국영방송국 BTV, 페루의 TV Perú 등 전 세계 100여 개의 방송국에서 영화 <For Unto Us>를 방영하고 있다. 이들은 단순한 공연을 넘어서, 이웃을 보듬어주고 미국 시민사회가 잊지 말아야 할 사랑을 상기시키는 선물과 같은 공연이라고 소개했다.

 

 

영화 <For Unto Us>는 샘 피셔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그라시아스합창단 70명과 오케스트라 50명 단원들이 함께 영화를 기획했으며, 직접 연기에 나섰다.

 

 

그라시아스합창단 소프라노 최혜미가 마리아를, 테너 우태직이 요셉을 연기했다. 테너 신지혁은 아기 예수를 찾아 없애려는 헤롯왕으로 분했다. 90분간 상영되는 영화는 신약 성경 속 묘사된 예수 그리스도 탄생의 의미를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스토리 속에 녹여냈다. 영화는 배우와 단원들의 연기와 노래가 절묘하게 어우러지며, 크리스마스 칸타타 못지않은 진한 감동을 선사한다.

 

 

특히, 그라시아스합창단원들은 감동은 연기자의 진정성에서 나온다고 믿고 수년간 연기 지도를 받아 왔으며, 이번 영화에서 캐릭터가 가진 완숙미를 높였다.

 

국내외에서 영화를 관람한 관객들의 반응도 뜨겁다.

 

 

“그들이 부르는 노래마다 저는 심장이 멎었습니다. 저도 합창단에 있었기 때문에 보면서 그들의 격을 알 수 있었습니다. 친구들한테 전화해서 다 보라고 했는데 유튜브에서 나오면 다시 보고 싶습니다. 정말 아름답고, 특별하고, 최고 중의 최고였습니다. ”

- 알래스카, 마이크

 

“그라시아스 합창단은 명성 그대로 음악적 예술로 보여줄 수 있는 천상의 목소리는 인간본연의 내적감성을 충분히 자극하고도 남을 깊은 향연의 연속이었습니다. 멋지고 아름다운 합창단이었습니다” – 서울, 정우철

 

“저도 수년간 트럼펫을 연주했었기 때문에 오케스트라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다. 합창단의 코러스는 완벽했고 노래는 매우 잘 편곡되었습니다. 솔로들도 너무 훌륭했습니다.”

- 투싼, 론 스타우트

 

한편, 그라시아스합창단은 2000년에 창단 된 뒤 세계적인 합창단으로 발돋움했다.

 

1년 내내 지구촌 곳곳에서 노래하고 연주하지만, 매년 11월~12월은 국내 시민들을 위한 크리스마스 칸타타 공연으로 연말을 따뜻하게 물들인다. 그라시아스합창단은 연말 크리스마스 칸타타 국내 투어를 하면서 코로나 전까지 총 750회, 150만 명을 관람하며 겨울에 사랑받는 공연으로 자리매김해 온 바 있다.


정치

더보기
안산시의회 최찬규 의원, 사할린 동포 1세대 아카이빙 조속한 구축 필요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최찬규 안산시의원(사동·사이동·해양동·본오3동)은 지난 11월 24일 열린 제300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에서 사할린 동포 1세대의 생애를 기록으로 보존하기 위한 아카이빙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촉구했다. 최찬규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사할린 동포의 이주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과 노동력 수탈 등의 결과였으며, 해방 이후에도 귀국이 허용되지 않아 오랜 기간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안산에는 약 900명의 사할린 동포가 거주하고 있으며, 1세대는 80~90대 고령층이다. 최찬규 의원은 정부와 안산시가 주거, 의료 등 정착 지원을 이어왔지만, 강제이주와 사할린 생활, 귀국, 정착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당사자의 목소리로 체계적으로 기록한 사업은 추진된 바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아카이빙 사업이 1세대 생애 보존과 지역 현대사 자료 확보, 정서적 회복 지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카이빙은 단순 인터뷰가 아니라 영상, 음성, 문서 등 여러 방식으로 생애를 정리하는 공적 기록 작업이라는 점도 덧붙였다. 한편 안산시가 제출한 2026년도 본예산안에는 해당 사업이 반영되지 않았다. 최찬규 의원은 “정착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