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좋은뉴스= 기자] 경상남도는 국가보훈부가 제86주년 순국선열의 날(11.17.)을 맞아 발표한 독립유공자 정부포상에서 경남 출신 독립운동가 6명이 포상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순국선열의 날 86주년을 맞아 정부포상을 받은 경남 출신 독립유공자 6명의 포상 훈격은 건국훈장 애족장 2명, 대통령표창 4명이고, 출신 지역은 창원 3명, 마산 1명, 동래 1명, 울산 1명이다. 포상자 중 생존 애국지사는 없다.
김세병 선생은 1939년 2월 일본 야마구치 고등학교에 재학하던 중에 조선인 학생 친목 단체인 여우회에 가입하여 항일의식이 높은 동료들과 이를 민족주의 비밀결사 단체로 발전시켰다. 이후 여우회는 조선 독립과 민족계몽을 목적으로 동지를 결집하고, 일본 패전 시 봉기를 결의했다. 선생은 이 일로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는 등 독립에 기여함이 인정되어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됐다.
김응윤 선생은 1920년 4월 마산지청에서 독립운동 활동으로 징역 6월의 옥고를 치르고 출소했다. 같은 해 12월경 마산에서 독립을 목적으로 조직된 비밀결사 용진단의 서기로 독립운동 관련 문서를 등사하고 배부한 죄로 1922년 3월 체포되어 징역 1년의 옥고를 치렀다. 조국의 독립을 위해 두 번의 옥고를 치른 선생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됐다.
김상대ㆍ박순오ㆍ손조동 선생은 1928년 5월 경남 창원에서 지역 청년들로 구성된 독서 구락부(‘클럽’을 뜻하는 일본식 음역어)를 조직하여 사상 연구를 하다가 같은 해 8월 이를 확대하여 무정부주의 비밀결사 흑우연맹을 결성했다. 이들은 신사회 실현을 목적으로 지역 청년들을 가맹시키고 반일ㆍ반공산주의적 민족운동을 이어가던 중 1929년 5월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는 등 독립에 기여함이 인정되어 세 분 모두 대통령표창을 포상받았다.
안영두 선생은 1919년 3월 경북 대구의 계성학교에 재학하던 중에 대구학생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했다. 이때 만세시위는 대구 지역의 각 학교 학생들이 대거 참여하여 시위대열이 1천여 명에 달했고, 당일 시위 참여자 중 157명이 검거됐다. 안영두 선생도 이때 검거되어 국가보안법 위반 죄로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을 받는 등 독립에 기여함이 인정되어 대통령표창을 포상 받았다.
이번에 포상 받은 분들 중 김응윤 선생과 김상대ㆍ박순오ㆍ손조동 선생은 2024년 경남도가 직접 발굴ㆍ조사하여 국가보훈부에 서훈 신청한 분들이다.
경남도는 민선 8기 시작과 더불어 지역의 미서훈 독립운동가들의 희생에 보답하기 위해 도가 직접 서훈 신청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간 노력의 결과로 도가 직접 서훈 신청한 독립운동가들이 꾸준히 포상의 영예를 안고 있어 뜻깊다.
전범식 경남도 복지정책과장은 “순국선열의 날 86주년을 맞아 조국의 독립을 위해 희생한 분들께 포상하고 공훈을 기릴 수 있게 되어 뜻깊다”면서, “지속적인 사료 조사와 수집을 통해 앞으로도 알려지지 않은 미서훈 독립운동가들을 발굴하고, 나아가 서훈이 추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