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주민과 소통하는 안산시 소속 ‘하천·계곡 지킴이’

김창열 지킴이, “마음이 통해야 주민 협조 가능”

‘하천·계곡 지킴이’의 활동은 이른 봄부터 시작한다.

눈이 녹고 계곡 따라 물이 흐르기 시작하면 농번기에 농부의 분주함과 같이 지킴이의 활동 또한 분주해진다. 그래서 기간제근로자인 ‘하천·계곡 지킴이’는 업무가 3월부터 10월까지로 집중되어 있다.

 

업무는 단순하지만은 않다. 하천관리 담당공무원의 업무보조, 하천 감시·순찰활동, 하천변 불법사항 감시·신고·관리, 하천 재해위험 요소점검, 쓰레기 처리, 지장수목 제거, 하천변 풀 깎기 등 하천 환경정화 활동, 낚시·취사·야영 금지지역 지정에 따른 불법행위 단속 및 계도, 그 밖에 하천의 보전·관리 및 불법행위방지 등 생소하고 업무의 스펙트럼 또한 넓다.

 

 

많은 안산시민들이 안산의 대표적인 하천인 안산천과 화정천은 많이들 거닐어 봤을 것이다. 하지만 하천들은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발원지를 밟아본 시민들은 매우 드물다.

‘하천·계곡 지킴이’의 활동은 이렇게 시민들 눈에 띄지 않는 깊숙한 상류로부터 시작한다. 통상적으로 외진 곳은 법의 사각지대가 많다. 본능이 제도보다 우선하는 곳도 많다. 그래서 하천 또한 관리가 어렵다. 외져서 어렵고 주민 참여도 떨어진다. 고령의 어르신들이 많아 더 그렇다.

 

‘하천·계곡 지킴이’의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원주민과의 마찰도 시작된다.

경기도는 최근까지 도내 25개 시·군, 234개 하천·계곡에서 1,601개 업소의 불법시설물 1만1,727개를 적발해 이중 1만1,680개를 철거하며 99.6%의 복구율을 보이는 과정에서 많은 마찰을 겪어야만 했다. 안산천 상류 또한 소소한 마찰이 잦다. 원주민의 농업 활동 중 온갖 쓰레기가 하천 수로로 떨어져 쓰레기장을 방불케 한다. 하지만 고령의 어르신들에게는 수거가 만만치 않은 큰일이다.

 

 

몇몇 원주민 어르신의 입에서 단속 나온 ‘하천·계곡 지킴이’의 칭찬이 자자하다.

“이런 사람 처음 봤다. 단속 나와 엄포만 주었지 따뜻하게 말 한마디 건네는 사람이 드물다”며 칭찬 일색이다. 지난 3월 말경에 찾은 안산천 상류에서 원주민 어르신과 함께 수로 정비 작업을 하는 김창열 씨를 만났다. 그이 입에서는 연신 “어머님”, “아버님” 소리가 흘러 나왔다. 동네 어르신들을 칭하는 호칭이다. 그러면서 작업 참여를 자연스럽게 독려했다.

 

‘하천·계곡 지킴이’ 김창열 씨는 “어르신들에게 법적인 지적만 해서는 하천 정화 작업이 어렵기만 하다”며 “마음으로 소통해야 공감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자연을 벗 삼아 살아오신 어르신들에게는 법은 멀게만 느껴질 뿐 행동으로 실천하기까지는 원동력이 되지 못 한다.

어르신들의 만류에도 김창열 씨는 분주하게 폐기물들을 처리한다. 어르신들만으로는 자체 작업이 어렵다는 것을 너무 잘 알기 때문이다.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로 뒤덮인 도심으로 시원한 물줄기가 흐르는 데에는 이렇게 수많은 이웃들의 노고가 녹아 있다.

올 여름 무더운 날씨에도 수고한 이들을 떠올리며 하천을 바로 보는 시선이 예년과 다를 듯하다.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