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안산실버대학 온라인 실버행복잔치 개최

“백발은 있어도 노인은 없다!”

 

 

안산실버대학은 5월 3일 오후 2시, 어버이날을 맞아 ‘온라인 실버행복잔치’를 개최했다. 이 날, 안산 지역 경로당과 요양원의 어르신, 독거노인, 소외계층 어르신 등 100여 명이 온라인으로 참석한 가운데,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2016년에 개교한 안산실버대학은 안산 및 인근지역 어르신들을 위해 매주 화요일 수업을 진행했고, 실버힐링캠프, 실버행복대잔치, 찾아가는 실버대학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어르신들이 행복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앞장 서왔다.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에는 온라인으로 수업을 전환하여, 단절된 생활에 지친 어르신들에게 기쁨을 선사했다.

 

 

부채춤 공연을 시작으로 실버행복잔치의 막이 올랐다. 실버행복잔치 개최를 축하하기 위해 김철민 국회의원과 안산시의회 문화복지위원장 이기환 의원이 “어르신들을 위해 실버행복잔치를 마련한 안산실버대학에 감사하다”며, “노년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보내시길 바란다”는 인사를 전했다.

 

 

이 날 프로그램은 건강체조, 동화 구연, 초대가수 공연, 메시지 순으로 진행됐다. 안산실버대학 교사들은 그 동안 방문하지 못했던 경로당 어르신들을 찾아가 온라인 실버행복잔치를 시청했고, 요양원에 계신 어르신들도 함께 하며 기뻐했다. 어르신들은 각 순서마다 춤도 추고 노래도 부르며 즐거움을 나눴다.

 

 

안산실버대학 이상준 학장은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복되다”는 주제로 “록펠러는 33세에 백만장자가 되고, 53세에 최고의 갑부가 되었으나 55세에 희귀병에 걸렸다. 1년밖에 남지 않은 시한부 선고를 받았을 즈음 병원 로비에 걸려있는 ‘주는 것이 받는 것 보다 복되다’는 성경구절을 보았다. 그 때부터 자신을 위해 살아왔던 삶을 멈추고 남을 위해 살기 시작했다. 1년밖에 살지 못한다고 했던 그는 43년을 더 행복하게 살게 되었다. 다른 사람을 위해 살다보면 몸도 건강해지고 마음이 행복해져 장수할 수 있다. 안산실버대학과 함께 소중한 노년을 복되고 아름답게 보내시길 바란다”고 메시지를 전했다.

 

 

실버행복잔치에 참석한 어르신들은 온라인 실버행복잔치를 참석하며 기쁨과 행복함을 감추지 못한 소감이 이어졌다. 김인자 어르신(81세)은 “기쁨을 전해주러 오신 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여기 계신 많은 노인들이 긴 시간 외롭게 지내는 것을 보며 내내 마음이 무거웠는데, 오늘 실버행복잔치를 통해 기쁨과 힐링을 주셔서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습니다. 진심으로 감사하고 고맙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이경래 어르신(75세)도 “우리를 잊지 않고 찾아와 주어서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안산실버대학과 함께하다보면 회원들이 더 젊어질 것 같습니다.”라고 기뻐했다.

 

 

안산실버대학 관계자는 “실버행복잔치를 통해 어르신들이 즐거워하고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며 감사하다”며, “행복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건전한 노인 문화를 형성하는 디딤돌 역할을 하겠다”고 전했다.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