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독자 기고문> 철강산업에 대한 소견-3탄

가온철강 이사 유진명

 

 

태양광 사업을 하시는 분들과 명절 전에 가벼운 식사를 할 기회가 있었다.

깊이 있게 이해는 못했지만 기억하는 요점은 “현재는 양극화 되어 있다! 한전과 관련한 pf대출로 조달 되는 사업은 전멸에 파산 상태이고, 반면 환경부와 관련된 정책사업 쪽은 괜찮거나, 좋을 듯 하다!”

 

생각해보았다. 20년 세월이 지난 것 같은 이 사업은 너무 큰 파도를 겪는 것 같다. 최근에는 논밭에, 저수지에 양식장 옆에도 반짝이며 들어서는 것 같더니만, 정부에서 원자력에 다시 매진 한다는 말이 나오고, 한전 회사채 발행으로 30조원대의 적자를 땜질 하겠다는 방안이 나오는 등 혼란스러운 모습에 철강 산업은 따라서 갈팡질팡하고 있다.

 

‘Re100’은 국제적 기업 간 협약 프로젝트로 재생에너지의 활용을 100%로 사용해야 한다는 간략한 이해를 하고 있는 필자에게는 한전의 문제를 금융으로, 정책으로 해결하는 것도 문제지만, 직접적인 손해를 보는 한전이라는 공기업이 원청이라고 절대적인 신뢰로 저가 도급을 한 하도 업체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이나, 배려가 없는 것 이라는 문제가 있다. 이 사업이 정치적인 방향이 좌회전, 우회전을 반복하는 사이에 새우 등 터지는 것은 아랑곳 하지 않는 것 같다.

 

고지전이란 영화를 보면서 한 숨을 쉬게 된다! 미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 소련은 지도를 놓고 공격해 점령해! 앉아서 이러고 있었겠지 치열하고, 동료의 주검을 밟으며, 가자고 독려하며, 피 흘리는 것은 우리고, 민족 아닌가? 너무도 힘없는 하도 업체는 산업의 전쟁터에서 왜 싸우는지도 모르고, 그냥 서로를 갉아 먹으며, 오늘도 영업 전선을 오르내리며, 상처만 남기고, 법원으로 퇴진하는 모습이 그 영화에 투영되는 내 모습 같아서 이다!

 

대기업은 그들의 정보력과 정책반영능력으로 위기를 잘 넘기고 있다. 수출만이 살길이라는 정부의 말도 사실은 중소기업에게는 소원한 일이다. 금융기관의 대출이자는 늘 중소기업이나, 서민을 상대로 두텁게 받아 간다. 사업을 해나가는 대부분의 철강업체는 올해를 두렵게 시작하고 있지만,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는 않은 것 같다. 그저 이겨내야 한다. 내 가정을 이끌어야 한다는 신념만으로 버틴 세월 IMF도, COVID도 넘겨가고 이기고 있으니.......

 

영업을 하면서 아군과 적군으로 구분하거나, 양분해서 판단하는 방식은 절대 금하며 일하고 있다. 그럴 수 없는 “을”이기도 하지만 종국에는 내 소속의 이익을 챙겨야 하는 목적 때문에 그렇기도 했다. 거래처 한 곳, 한 곳은 그들만의 특징이 있다. 그들만의 장점이 있기에 이 세월을 버티고 있다고 믿는다. 그래서 우리라는 울타리로 정보를 나누고, 응원하고 싶다

 

혼돈의 시절이 시작되었지만, 중국이 살아나는 기미만 보였는데, 고철에서부터 제품가가 지난해 중후반부터 떨어져 가든 가격을 어느 정도 올리고 있는 기조이다. 재작년 가파르게 올랐을 때의 제품이 아직 창고에 남아 있고, 다시 그 가격대로 오를 것 같지는 않지만, 그래도 믹스 커피한잔을 마시며, 섣부른 전망을 나누며 지혜를 구하러 움직이려 한다. 오늘도, 올 한해도 독자 여러분의 건승을 기도합니다.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