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고문> 혜원 신윤복의 고향, 서울 은평구!

최영길 이사장(社 始華湖文化史學會 理事長 兼 韓脈뿌리文化硏究院長)

 

혜원(蕙園) 신윤복(申潤福)은 조선 500년을 통해 가장 에로티시즘의 천재적 작가입니다. 고령신씨 안협공파 후손으로 『1804년 고령신씨 한성보』에 의하면 은평구 구산동에 고령신씨 안협공파 조상의 묘소 26기 54위가 모셔져 있고 신윤복의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 고조할아버지 등 조상대대로 내외분의 묘소가 합장 혹은 단독장의 형태로 있었습니다.

 

1804년 신윤복의 아버지 신한평과 신윤복이 생존해 있어 족보에 기록은 없지만, 신한평과 신윤복의 사망 이후 이들 역시 은평구 구산동 거북골근린공원(지금의 구산중학교 자리)에 묘소를 마련하였으므로 489년 전부터 신윤복의 8대 선조님과 후손들의 세거지요 세장지였다!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혜원 신윤복은 일재(逸齋) 신한평(申漢枰)과 어머니 홍천 피씨 사이에서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습니다.

 

신한평은 당대 최고의 화원들만 그릴 수 있는 1773년(영조 49) 영조 어진과 왕세손 정조의 어진을 그린 후 포상으로 '신지도 만호(萬戶)'에 제수*되었습니다.

 

집안 대대로 그림을 잘 그리고 글씨를 잘 쓰는 재능이 뛰어난 것으로 전해집니다.

 

혜원 신윤복은 20세 (1777년 5월 10일) 도화서 화원에 입격하여 첨절제사(僉節制使)의 벼슬까지 올랐으나 1791년(정조 15) 33세 때 실경화, 진경화가 아닌 사의(寫意), 즉 자신의 생각을 그림에 그렸다 하여 신윤복의 회화 사상은 비록 정조에 의해 거부당했지만 조선후기 회화사의 최대 행운이요 근대 회화의 출발을 알리는 기념비적인 사건이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혜원의 것으로 밝혀진 그림은 125점 정도이며 풍속화 백미로 꼽히는 1970년 12월 30일 대한민국 국보 135호로 지정된 혜원전신첩(惠園傳神帖) 30점과 2018년 2월 21일 대한민국 보물 제1973호로 지정된 미인도(美人圖) 등이 있습니다.

 

1990년대 프랑스에서 예술적 에로티시즘을 인정받아 재조명된 그는 조선시대 회화의 전분야에 걸쳐 창작한 화원으로 시대를 몇백 년 앞선 작가였던 거지요.

 

1793년 8월 21일 밤에 그린 월하정인(月下情人)은 남승민 가수가 '월하정인(月下情人)'이라는 제목으로 노래를 부르고 있으며 또한 유승현 영화감독은 '단이전 : 미인도 이야기' (신윤복의 회화 15점을 바탕으로 해서 만든 VR 영화)를 호주 최대 멜버른국제영화제에서 상영해 가치를 상승시켰습니다.

 

근대 미술비평가인 윤희순은 "동양화의 조선회화와 미술의 생활화를 실현한 제1인자"라고 했습니다.

 

조선후기 풍속화의 대가, 혜원 신윤복의 고향이 은평구 구산동이라는 것은 고령신씨 안협공파 종중회 임원들과 신윤복의 그림을 좋아하는 여러 사람의 노력으로 밝혀졌습니다.

 

은평구에서 우리 고장 출신이라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혜원 신윤복을 기념하는 여러 사업을 통해 지역의 문화와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면 합니다.

 

고령신씨 후손으로 은평 혜원 신윤복 거리에서 그의 그림들이 나부끼며 예술혼이 살아 숨쉬기를 소망하며 설레는 가을 문을 엽니다.

 

<참고문헌>

*도화서 화원 고령신씨 혜원 신윤복(고령신씨 북백공파 가장집 8권)

*서울특별시 은평구 구산동은 489년 전부터 고령신씨 혜원 신윤복 (蕙園 申潤福) 선생님의 8대 선조님 신진공파 후손들의 세거지(世居地)요 세장지(世葬地)였다!(고령신씨 안협공파종중회)

*김종수(군산대교수. 은평향토사학자) 학술자료

*이양재(고려미술연구소 소장) 학술자료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