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영암군 걷기동호회, 건강·환경·우정 모두 채우는 중

  • 등록 2025.10.28 11:31:10
  • 조회수 0

7개 읍·면 8개 동호회 112명 회원, 걷고 사진 공유하고 안부도 묻고

 

[참좋은뉴스= 기자] “건강 때문에 시작했는데, 이제는 걷는 게 하루의 습관이 됐다.”

 

영암군 영암읍의 김말희(57) 씨는 요즘 동호회원들과 함께 하는 걷기에 푹 빠져 있다.

 

걷기동호회에서 만나 알게 된 회원들과 월출산 기찬묏길 등 지역의 좋은 길을 함께 걷는 것도 즐겁지만, 길에서 만나는 들꽃과 나무들을 휴대전화로 찍어 온라인에 올리는 재미도 쏠쏠하다.

 

지난 토요일인 25일에는 영암군이 신북면 백룡산에서 주최한 ‘다 함께 걷기’ 행사에 참여해 다른 읍·면의 걷기 동호회원들과 어울리며 가을 산길에서 추억을 쌓았다.

 

걷기가 좋아 영암읍 걷기 리더까지 맡고 있는 김 씨를 포함한 100여 명의 행사 참여자들은, 이날 걷기와 쓰레기 줍기를 병행하는 ‘줍깅’으로 건강도 증진하고, 깨끗한 길도 동시에 만드는 일석이조 활동을 벌이며 뿌듯한 마음까지 챙겼다.

 

이렇듯 영암군에서는 걷기동호회가 운동 모임을 넘어 군민 일상으로 깊이 파고들며 소통 플랫폼으로도 차츰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영암군민의 걷기 지원을 위해 영암군은, 올해 7월 각 읍·면별 걷기동호회원 모집을 시작했고, 8월에는 기찬묏길 걷기 행사로 7개 읍·면 8개 동호회의 출범을 뒷받침했다.

 

이어 지난달에는 첫 번째 걷기 챌린지를 제시했고, 이달 10일 열린 간담회에서는 챌린지 시상식도 열어 걷는 영암군민을 응원하고 있다.

 

영암군에서 걷기동호회원으로 등록한 이들은 총 112명으로, 이들은 ‘다 함께 걷고, 사진을 올린다’는 최소 원칙을 바탕으로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각 읍·면별로 만든 단체문자방은 동호회원들이 길을 걸으며 찍은 걷기 인증사진을 올리고, 꽃길·아침햇살·반려견산책 등 일상의 풍경도 공유하는 장소가 되고 있다.

 

나아가 소식이 뜸한 동호회원들의 안부를 묻거나, 걷기로 새로 맺은 우정을 쌓는 공간으로 작은 온라인 마을 기능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시종면의 황인홍(73) 동호회원은 “단체문자방이 걷기동호인 사이에서 좋은 마을로 자리 잡고 있다. 다른 회원들이 올린 사진을 보며 나도 참여하게 되고, 연락이 뜸한 회원들의 안부도 알 수 있어서 든든하다”고 전했다.

 

영암군은 앞으로도 걷기 앱 ‘워크온’ 등을 활용해 각 읍·면의 동호회의 활동을 뒷받침하고, 전체 동호회가 연합해 진행하는 행사를 꾸준히 열어 영암군 11개 읍·면으로 걷기동호회를 확장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박수희 영암군보건소장은 “걷기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함께하면 생활이 달라진다. 걷기동호회를 포함한 다양한 건강 프로그램으로 어르신과 영암군민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뉴스출처 : 전라남도영암군]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