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좋은뉴스= 기자] 전북특별자치도가 새만금에 인공태양 연구시설을 유치하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도는 6일 전북테크비즈센터에서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위원회' 발대식을 열고, 1조 2,000억 원 규모의 국책사업 유치에 시동을 걸었다.
발대식에는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와 문승우 도의회 의장, 강임준 군산시장, 김우민 군산시의회 의장, 김의겸 새만금개발청장 등이 공동위원장으로 참여했다. 특히 유희열 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이 민간위원장으로 위촉되며 행정과 전문가가 손잡은 유치위원회가 출범했다.
유치위원회는 과학기술계 인사, 대학 총장, 지방의회, 국회의원, 기초단체장 등 38명의 상임유치위원과 기획·정책·기업·홍보·대외 등 5개 분과로 구성됐다. 이들 위원회는 동향 파악 및 관계자 설득, 평가 대응, SNS 홍보, 지역 강점 부각 등 다각적인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이날 발대식에서는 17개 관련 기관이 참여하는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사업 부지 공동유치 업무협약'도 체결됐다. 전북자치도와 새만금청, 군산시를 비롯해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전력공사 전북본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북분원,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전북대·군산대 등 도내 대학과 연구 기관이 참여했다.
협약은 행정적·재정적 지원, 사업부지 용지관리 및 공급, 전문 인력양성, 산학협력 등 각 기관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지역 공감대 형성과 상생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체결됐다.
업무협약 체결 후 이어진 위촉식에서는 신형식 전(前)기초과학연구원장이 대표로 위촉장을 받으며 유치위원회의 공식 출범을 알렸다.
신형식 상임 유치위원은 "14개 시군 도민의 염원을 하나로 모아 인공태양 연구시설을 전북으로 유치하겠다"며 도민들의 지지를 당부했다.
이지훈 전북연구원 박사는 전북의 강점을 설명하며, 새만금 후보 부지가 2027년부터 대규모 연구시설 착공이 가능하고,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과의 접근성이 우수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새만금이 국가 재생에너지 R&D 실증 허브로서 핵융합과 연계한 청정에너지 거점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희열 민간위원장은 "인공태양은 인류의 궁극 에너지원으로 세계 각국이 치열한 개발경쟁을 벌이고 있어 예상보다 빨리 상용화 될 것으로 본다“며 ”전북에 관련 시설을 유치하여 미래에너지 거점으로 발전시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임준 군산시장은 "새만금은 대규모 단일부지와 연구시설에 필요한 기반시설을 이미 갖추고 있어 최적의 입지"라며 "오래전부터 준비해온 만큼, 도민들이 힘을 모아 인공태양 연구시설을 반드시 유치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는 "새만금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를 위해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때"라며 "오늘 모인 분들이 뜻을 모은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유관 기관과 협력하며, 모든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뉴스출처 : 전라북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