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좋은뉴스= 기자] 제주특별자치도 상하수도본부(본부장 좌재봉)가 2026년 인프라 고도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총 4,253억 원 규모의 상하수도 기반시설 투자에 나선다.
이 가운데 국비 2,062억 원을 확보해 수돗물 공급 안정화와 하수처리 현대화를 본격 추진한다. 도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 물 수요 대응을 동시에 겨냥한 투자다.
안정적 수돗물 공급을 위한 상수도 부문에는 1,295억 원이 집중된다.
친환경 대체 취수원 개발과 식수 전용 저수지 확충, 신규 정수장 개발 등 취수원 확보 사업에 102억 원을 투자해 증가하는 물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기후변화와 인구 증가로 인한 수요 변동성에 대비하는 것이다.
정수장 시설 개선에는 393억 원이 투입된다. 인공지능(AI)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정수장 현대화 사업으로, 고도처리시설 도입과 스마트 관리 체계 구축이 핵심이다. 수질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운영 효율을 개선하겠다는 계획이다.
노후 상수관망 정비와 유수율 개선을 위해서는 800억 원이 배정됐다. 지방상수도 현대화 등 16개 사업을 통해 체계적인 누수 관리와 노후 관망 교체를 추진한다. 상수도 손실을 최소화하고 공급 안정성을 높이는 데 주력한다.
하수도 기반시설 확충에는 2,958억 원이 투자된다.
동부·대정·색달·성산 등 4개 하수처리장 증설 사업에 1,076억 원을 투입해 2030년까지 일 처리 용량 3만 2,000톤을 확보한다. 인구 증가와 개발 수요에 따른 하수 발생량 증가에 대응하는 장기 계획이다.
제주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 사업에는 내년도 국비 699억 원을 포함해 총 1,496억 원이 투입된다. 처리 효율과 환경 안전성을 동시에 끌어올린다.
보행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신규 사업도 추진된다. 맨홀 추락 방지 시설 설치 사업으로 도심 내 안전사고 위험을 줄인다. 노후 차집관로 및 하수관로 정비, 민간투자사업(BTL)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하수 이송 체계도 지속 강화할 방침이다.
좌재봉 제주도 상하수도본부장은 “인구 증가와 기후변화로 인한 물 수요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면서, 노후 인프라 개선을 통해 물 공급의 안정성을 높이겠다”며 “지역업체와의 상생 협력으로 투자 효과가 지역경제로 순환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뉴스출처 : 제주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