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교육부, 2025 대한민국 인공지능(AI) 교육 축제 개최

  • 등록 2025.11.25 20:10:39
  • 조회수 0

- 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동 주최, ‘인공지능으로 러닝, 내일로 러닝(Learn with AI, Run into the Future)’을 주제로 11.21.(금)~22.(토) 개최

 

[참좋은뉴스= 기자]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 정우성)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원장 박운규)이 주관하는 '2025 대한민국 인공지능(AI) 교육 축제'가 11월 21일부터 22일까지 2일 동안 킨텍스(일산) 제2전시장에서 열린다.

 

올해 11회를 맞은 본 행사는 지난 2015년부터 이어져 온 '소프트웨어(SW) 교육 축제'를 확대 개편한 것이다. 올해부터 정부가 추진하는 ‘인공지능 3대 강국’ 실현 기조에 맞춰, 인공지능·소프트웨어 교육의 가치와 가능성을 국민이 함께 배우고 즐길 수 있도록 전국 규모의 교육 축제로 새롭게 거듭난다.

 

이번 행사의 주제인 “인공지능으로 러닝, 내일로 러닝”은 단순한 기술 체험이 아니라, 모든 국민이 인공지능 역량을 기반으로 미래 사회의 변화에 주체적으로 대응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를 위해 이번 축제는 미래 교육의 실험실로서, 전국 120여 개 학교·기관이 참여해 인공지능을 통해 배우고, 만들어 보고, 소통하는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주요 체험 프로그램으로, 초·중·고교 학생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디지털 새싹’ 프로그램과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학교 인공지능(School AI)’ 프로그램 등이 운영된다.

 

아울러, 이번 행사는 세대와 지역, 국경을 넘어 인공지능이 만들어 내는 새로운 학습과 소통의 문화를 경험하고, 인공지능 교육의 국제 협력 가능성을 체감할 수 있는 참여형 축제로 꾸려졌다. ‘스마트 인공지능 모빌리티 대회’에서 자율주행 로봇을 직접 코딩해 인공지능 기술을 체험하거나, ‘마인크래프트 이스포츠 대회(Minecraft e-Sports 대회)’에서 인공지능 코드를 활용해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는 등 게임을 통해 창의적 문제 해결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이 외에도 로보틱스 참여 잇기(챌린지) 대회를 체험할 수 있는 ‘인공지능 로보팜(Farm)’, 전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온라인 프로그램 코딩파티 시즌2’, 관람객이 참여하는 과제 수행 프로그램 ‘런&런(AI Festival)’ 등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참여형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인공지능 트랜스포메이션 발표회’, ‘교육 정보 기술(에듀테크) 교실혁신 공개 토론회’ 등 최신 인공지능 교육 동향과 실제 인공지능의 학교 적용 사례를 공유하는 전문 교육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된다.

 

교육부 장홍재 책임교육정책실장은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갈 우리 학생들은 앞으로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라고 강조하며, “모든 학생이 학교 교육을 통해 인공지능 기본 소양을 기를 수 있도록 학교 현장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이도규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인공지능은 단순히 새로운 기술의 등장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라고 하면서 “이번 축제를 통해 우리 학생들이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를 자연스럽게 경험하고, 인공지능 교육의 가치가 사회 전반에 널리 확산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본 행사의 일정 및 세부 사항은 ‘2025 대한민국 인공지능 교육 축제’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뉴스출처 : 교육부]


정치

더보기
안산시의회 최찬규 의원, 사할린 동포 1세대 아카이빙 조속한 구축 필요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최찬규 안산시의원(사동·사이동·해양동·본오3동)은 지난 11월 24일 열린 제300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에서 사할린 동포 1세대의 생애를 기록으로 보존하기 위한 아카이빙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촉구했다. 최찬규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사할린 동포의 이주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과 노동력 수탈 등의 결과였으며, 해방 이후에도 귀국이 허용되지 않아 오랜 기간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안산에는 약 900명의 사할린 동포가 거주하고 있으며, 1세대는 80~90대 고령층이다. 최찬규 의원은 정부와 안산시가 주거, 의료 등 정착 지원을 이어왔지만, 강제이주와 사할린 생활, 귀국, 정착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당사자의 목소리로 체계적으로 기록한 사업은 추진된 바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아카이빙 사업이 1세대 생애 보존과 지역 현대사 자료 확보, 정서적 회복 지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카이빙은 단순 인터뷰가 아니라 영상, 음성, 문서 등 여러 방식으로 생애를 정리하는 공적 기록 작업이라는 점도 덧붙였다. 한편 안산시가 제출한 2026년도 본예산안에는 해당 사업이 반영되지 않았다. 최찬규 의원은 “정착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