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부산시, '제3회 인공지능위원회' 개최… 소상공인·조선해양 분야 인공지능 전환 본격 추진

  • 등록 2025.11.26 19:50:19
  • 조회수 0

11.26. 10:30 시청 12층 소희의실2에서 개최

 

[참좋은뉴스= 기자] 부산시는 26일 오전 10시 30분 시청 12층 소회의실2에서 '제3회 부산시 인공지능위원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기업 등 각계 인공지능 전문가로 구성된 시 인공지능위원회 위원 ▲㈜케이티(KT) ▲㈜엘지유플러스(LGU+) ▲㈜식파마(스타트업) ▲소상공인연합회 ▲부산정보산업진흥원 ▲부산경제진흥원 등 소상공인 인공지능(AI) 관련 기업, 기관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석한다.

 

이번 회의는 산업 분야를 넘어 시민 일상과 밀접한 소상공인 분야의 인공지능(AI) 전환 지원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시 인공지능위원회 추진 상황 보고 ▲기업의 소상공인 인공지능(AI) 플랫폼 사례 발표 ▲소상공인연합회 간담회 순으로 진행된다.

 

이날 회의에서는 소상공인 업종에서의 인공지능(AI) 활용 사례를 공유하고, 현장의 의견을 직접 청취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케이티(KT), ㈜엘지유플러스(LGU+) 및 ㈜식파마(스타트업)는 ▲고객 데이터 분석 ▲맞춤형 마케팅 ▲인공지능(AI) 콜봇 ▲서빙로봇 등 다양한 소상공인 대상 인공지능(AI) 플랫폼 도입 사례를 소개한다.

 

시는 소상공인 인공지능(AI) 활용 효과와 서비스 도입 과정에서의 애로사항과 개선에 대한 현장 의견을 수렴해 지역 맞춤형 인공지능(AI) 지원 정책에 적극 반영할 예정이다.

 

같은 날(24일) 오후 1시 30분 2부 회의에서는 조선·해양 산업의 핵심 제조 공정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하기 위한 본격적인 논의에 나선다.

 

조선 및 해양 관련 기업의 전문가들이 참석해 조선 선박 건조의 핵심 공정인 해양사형주조 및 용접 기술에 대한 인공지능(AI) 기술 적용 방안, 최신 도입 사례를 공유하고, 산업 현장의 디지털 전환 방향성에 대해 폭넓은 의견을 나눌 계획이다.

 

한편, 시는 지난 9월 '부산시 인공지능위원회' 출범식을 통해 '월드클래스 해양 인공지능(AI) 허브 부산'을 목표로 설정하고, 해운·항만·방산 분야 혁신 성장을 위한 1조 원 규모의 '웨이브(WAVE) 프로젝트'를 발표한 바 있다.

 

이어 10월 개최된 제2회 위원회에서는 해양산업의 인공지능(AI) 전환 및 일자리 창출 방안을 논의하고, 해양 인공지능(AI) 일자리 전담팀(TF)을 구성해 해양 일자리 모델 발굴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에도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인공지능(AI)과 디지털 전환은 시대의 흐름이며,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의 열쇠이므로 일상생활과 골목상권, 전통시장에서 모든 시민이 인공지능(AI) 기술의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며, “또한, 부산을 대한민국 인공지능(AI) 해양 특화 도시이자, 모든 시민이 인공지능(AI) 기술의 혜택을 누리는 포용적 인공지능(AI) 허브 도시로 만들어 가겠다”라고 전할 예정이다.


[뉴스출처 : 부산시]


정치

더보기
안산시의회 최찬규 의원, 사할린 동포 1세대 아카이빙 조속한 구축 필요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최찬규 안산시의원(사동·사이동·해양동·본오3동)은 지난 11월 24일 열린 제300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에서 사할린 동포 1세대의 생애를 기록으로 보존하기 위한 아카이빙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촉구했다. 최찬규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사할린 동포의 이주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과 노동력 수탈 등의 결과였으며, 해방 이후에도 귀국이 허용되지 않아 오랜 기간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안산에는 약 900명의 사할린 동포가 거주하고 있으며, 1세대는 80~90대 고령층이다. 최찬규 의원은 정부와 안산시가 주거, 의료 등 정착 지원을 이어왔지만, 강제이주와 사할린 생활, 귀국, 정착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당사자의 목소리로 체계적으로 기록한 사업은 추진된 바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아카이빙 사업이 1세대 생애 보존과 지역 현대사 자료 확보, 정서적 회복 지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카이빙은 단순 인터뷰가 아니라 영상, 음성, 문서 등 여러 방식으로 생애를 정리하는 공적 기록 작업이라는 점도 덧붙였다. 한편 안산시가 제출한 2026년도 본예산안에는 해당 사업이 반영되지 않았다. 최찬규 의원은 “정착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