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안산 환경재단, 대부도 관광 활성화를 위한 비대면 포럼 개최

 

재단법인 안산 환경재단(이사장 윤화섭)은 지난 10일 ‘지역 기반의 대부도 관광 활성화를 위한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바다를 품은 수도권 최고의 문화, 관광도시 안산시 대부도의 관광 활성화 방안 모색”을 주제로 민, 관, 학, 연의 이해관계자 간 의견 공유를 통해 대부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하였다. 수도권 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해 참여자 간 거리 두기 등 정부 방역지침을 준수하며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안산 환경재단 유튜브 채널을 통해 약 2시간 반 동안 생중계됐으며, 안산시민은 물론 다른 지역 시민들도 채팅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1부 발제에서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손용훈 교수와 마을디자인 박영선 대표가 “대부도는 매력적인 수도권 관광지지만, 전략적인 관광 방향이 수립되지 못해 아쉬웠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손용훈 교수는 “대부도의 자연경관은 매우 아름답지만, 관리되지 않고 방치된 지역이 많았다”라며, “방문객들의 쾌적함과 안전이 확보되도록 지속 가능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영선 대표는 “갯벌 자원과 농어촌 6차산업이 어우러지며 지역민과 함께 성장해야 한다”라고 강조하면서, “어촌문화를 연계한 마을 발전과 해양자원을 활용한 어업·생태관광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2부 토론에서는 지역 기반 대부도 관광 활성화 논의를 위해 김향자 선임연구위원(한국문화관광연구원)을 좌장으로, 이규철 책임연구원(안산 환경재단), 강정미 이사(대부도고랫부리섬생태관광마을 기업) 박선미 대표(생태관광 사회적 협동조합 GG네이쳐)가 토론자로 나섰다.

이규철 책임연구원은 “코로나 19시대의 관광은 자연환경 속에서의 걷기가 유행될 것이며, 대부해솔길 역시 사회적 방향에 맞는 형태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정미 이사는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이 반영된 중장기적 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박선미 대표는 교통 분야에서의 다양한 문제점에 대해 개선 노력을 언급하며 대부해솔길의 코스별 연결성과 코스별 스토리텔링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안산 환경재단 윤기종 대표이사는 “이번 포럼을 통해 수도권 생태관광지의 거점으로 대부도가 지역주민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비전과 실행 전략을 구축하는 초석이 될 것”이라 말했다. 포럼은 유튜브 ‘안산 환경재단’ 채널을 통해 다시 확인할 수 있으며 포럼과 관련된 문의는 안산 환경재단 지속 가능 정책실을 통해 접수하고 있다. 한편 안산 환경재단은 안산의 지속 가능한 도시 전환을 위해 2008년 전국 기초지자체 중 최초로 설립된 시립 환경재단으로, 안산시의 도시생태계 서비스, 도시 탄소관리, 갈대 습지 운영관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다양한 사업 및 연구로 환경, 생태 도시 안산을 만드는 데 앞장서고 있다.


정치

더보기
안산시의회 박태순 의장, 市 정신건강복지센터 격려 방문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안산시의회 박태순 의장이 지난 3월 18일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를 방문해 관련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근무자들을 격려했다. 최근 정신건강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박태순 의장의 제안으로 마련된 이번 방문 일정에는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 회원 가족모임회장을 맡고 있는 안산양무리교회의 김희창 목사와 센터 회원 가족들, 안산시 단원보건소 관계자들도 참여했다. 박태순 의장이 찾은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는 ‘정진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난 1997년에 설립된 기관으로, 현재 총 36명의 인력이 안산시민의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의 예방과 정신장애인들의 사회복귀·회복을 위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태순 의장은 이날 현장에서 사업 내용과 운영 현황에 대해 설명을 듣고 센터 측과 회원 가족들의 애로사항을 파악했다. 특히 농작물 재배를 통해 자립과 사회성을 도모하는 외국의 공동체 사례를 소개하며 안산에 적용 가능한 정신건강 지원 사업 모델의 착안점을 제공하기도 했다. 아울러 지역 다문화 가정 아동들이 언어 장벽으로 정신적 스트레스가 많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들을 위한 지원 사업의 필요성을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