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박명영 시인, 동시집 출판기념회 성료

창작산맥 시흥지부 ‘별다방 한국 문학연구소’ 주최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지난 11월 19일 시흥 정왕평생학습관에서 창작산맥 시흥지부 소속 ‘별다방 한국 문학연구소’가 주최하고 아시아예술출판사 및 한반도 문학 후원으로 박명영 시인 동시집 출판기념회가 성황리에 열렸다.

 

창작산맥 시흥지부 ‘별다방 한국문학연구소’ 손희 대표의 사회로 개회사 및 국민의례 후 박명영 시인의 내빈 소개의 시간이 있었다. 이날 내빈으로 신상성 서울문화예술 초대 총장, 구자룡 부천시인대표, 고광덕 목사, 현재봉 베드로 목감본당 주임신부와 이진희 베로니카 수녀, 안산문인협회 김영숙 전 회장, 고려대 박금숙 교수 등 시인과 성당 지인, 그리고 가족과 친척들이 찾아와 축하의 자리를 빛내줬다.

 

축사는 신상성 서울문화예술 초대 총장, 구자룡 부천시인협회 대표, 목감성당 현재봉 베드로 주임신부 등이 했다. 축시 낭송으로는 안산문인협회 김영숙 전 회장이 ‘비누’ 동시를 맛깔나게 했고 작가의 삶과 비슷하다며 정호승 시인의 ‘내가 사랑하는 사람’의 시를 낭송했다. 이어 이양숙 재무이사가 나와 박명영 시인의 약력을 소개했고 정정숙 부회장이 삽화를 그린 작가의 막내딸인 신수련 양의 약력을 낭독했다. 이어 한양대 고천재 성악가가 김동규의 ‘10월의 어느 멋진 날에’ 등을 불려 감동을 전했다. 그리고 시흥지부 ‘별다방 한국문학연구소’ 소속 회원들과 참가자들이 작가의 동시 및 제자의 동시를 낭송하는 시간을 가지며 훈훈함을 더했다.

 

축사를 한 신상성 교수는 “20년 넘게 알고 온 박명영 시인은 맑은 영혼을 가지고 동시를 쓰고 있으며, 가정에서 또 성당에서 봉사도 열심히 하는 모습이 참 아름답다. 그러면서 문학 활동도 열심히 하고 또한 학생들을 지도하는 등 일인 십 역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박명영 시인이 친정아버지와 같다고 소개한 구자룡 부천시인대표는 “박명영 시인과 알고 지낸 지 30년 가까이 되었다. 30년 전 시인이 백일장 입상하면서 부천복사골문학회 도원동인으로 소속되어 10년 가까이 합평하며 공부하다가 2006년에 자유문학으로 등단까지 했다.”며 “등단과 함께 도원동인 ‘강깊은 저녁에’라는 동인지를 냈으며, 2017년 1월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집을 발간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하며, 이렇게 또 ‘친구야 놀자’ 동시집을 내는 걸 보니 기쁘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목감성당 현재봉 베드로 신부는 “박명영 시인의 세례명인 카타리나 성녀는 활발하고 열정적인 삶을 살다간 성녀이다. 그런 성녀처럼 열정적인 삶을 살아가는 박 시인의 모습에 감동받았다.”고 말했다.

 

독실한 가톨릭신자인 박명영 시인은 자신이 몸담고 있고 목감성당에 이번 동시집 판매금 백만 원을 성전건립금으로 기부하기도 했다. 박명영 시인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집과 동시집 ‘친구야 놀자’는 현재 교보문고 등에서 전자책과 함께 판매되고 있다.

 


정치

더보기
안산시의회 최찬규 의원, 사할린 동포 1세대 아카이빙 조속한 구축 필요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최찬규 안산시의원(사동·사이동·해양동·본오3동)은 지난 11월 24일 열린 제300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에서 사할린 동포 1세대의 생애를 기록으로 보존하기 위한 아카이빙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촉구했다. 최찬규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사할린 동포의 이주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과 노동력 수탈 등의 결과였으며, 해방 이후에도 귀국이 허용되지 않아 오랜 기간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안산에는 약 900명의 사할린 동포가 거주하고 있으며, 1세대는 80~90대 고령층이다. 최찬규 의원은 정부와 안산시가 주거, 의료 등 정착 지원을 이어왔지만, 강제이주와 사할린 생활, 귀국, 정착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당사자의 목소리로 체계적으로 기록한 사업은 추진된 바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아카이빙 사업이 1세대 생애 보존과 지역 현대사 자료 확보, 정서적 회복 지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카이빙은 단순 인터뷰가 아니라 영상, 음성, 문서 등 여러 방식으로 생애를 정리하는 공적 기록 작업이라는 점도 덧붙였다. 한편 안산시가 제출한 2026년도 본예산안에는 해당 사업이 반영되지 않았다. 최찬규 의원은 “정착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