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울산마을교육공동체거점센터, 조선산업 특색 살린 ‘모형 배 제작’ 강좌 운영…청소년 진로 탐색 지원

  • 등록 2025.10.20 10:31:45
  • 조회수 1

청소년들 원목 활용해 실물 대비 1/5 크기로 로우보트 만들어

 

[참좋은뉴스=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 울산마을교육공동체거점센터는 모두의 배움터 마을살이 학교 프로그램의 하나로, 모형 배 제작 체험 과정을 지난 8월부터 10월까지 7주간 운영했다.

 

‘마을살이 학교’는 김치교실, 한해살이, 영화제작교실 등 의식주를 주제로 한 다양한 생활 중심 강좌를 운영하며 땡땡마을의 특색을 살린 배움터이다.

 

이번 모형 배 제작 프로그램은 조선산업의 도시 울산의 특색을 살린 목공, 선박 제작 체험형 교육으로, 청소년들이 직접 배우고 제작하며 협동과 성취의 가치를 경험하도록 구성됐다.

 

울산지역 중고등학생 6명이 참여했고, 목제 카약과 카누 제작 전문 강사가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며 실제 제작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도했다.

 

참가자들은 실제 선박의 설계도와 제작용 도구(키트)를 활용해 레저용 로우보트(Rowboat)를 실물 대비 1/5 크기로 제작했다. 학생들은 설계, 조립, 도장 등 전 과정을 직접 수행했다.

 

특히, 스트립 공법(Strip Construction)을 적용해 가늘고 긴 원목을 겹겹이 이어 붙이는 제작 기술을 익혔으며, 톱과 드릴 등 전동공구의 안전한 사용법도 함께 배웠다.

 

경의고 3학년 한 학생은 “토요일마다 참여하느라 힘들었지만 완성된 배를 보니 뿌듯했고 성취감을 느꼈다”라고 말했다. 약사중 2학년 학생도 “배의 선형을 만드는 과정이 어렵지만 재미있었고, 실제 배 제작 과정을 이해하게 돼 뜻깊었다”라고 말했다.

 

센터는 이번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협력과 창의성을 기르는 동시에 지역 산업과 연계된 진로 교육의 장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내년 상반기에는 실제 크기와 유사한 목제 보트를 1년간 제작하는 강좌를 개설해 심화형 교육을 이어갈 예정이다.

 

센터 관계자는 “이번 체험은 청소년이 자신의 손으로 울산의 산업과 문화를 배우는 의미 있는 배움의 과정이었다”라며 “앞으로도 지역의 특색을 살린 체험 중심 프로그램을 지속 운영하겠다”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울산교육청]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