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남에 꽃피우는 예술교육’

  • 등록 2025.10.20 18:53:08
  • 조회수 0

경남교육청, 11월까지 권역별로 ‘경남학교예술교육 페스티벌’ 개최

 

[참좋은뉴스= 기자] 경상남도교육청은 학생들의 예술적 성취감을 높이고, 예술을 통한 교육공동체의 창의적 어울림을 확산하기 위해 ‘2025 경남학교예술교육 페스티벌’을 10월부터 11월까지 권역별로 개최한다.

 

올해 축제는 ‘예술, 우리의 빛나는 순간’을 주제로, 기존의 대규모 단일 행사에서 벗어나 권역별 주요 공연장과 전시장에서 다채롭게 열린다. 이를 통해 경남학교예술교육의 성과를 폭넓게 공유하고,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 향유의 기회를 확대할 예정이다.

 

◇ 경남 전역에서 펼쳐지는 '예술의 울림'

도내 초·중·고등학교에서 선정한 33개 공연팀과 38개 학교의 620여 점 미술 작품이 이번 축제에 참여한다. 축제는 공연(합주, 합창, 뮤지컬, 케이팝, 밴드)과 전시(미술)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학생과 학부모, 교직원, 지역민 등 약 3,200여 명이 관람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술 전시는 10월 20일부터 31일까지 12일간 경남예술교육원 해봄 전시관에서 열리며, 개막식은 20일 오후 3시 30분에 진행된다.

 

공연 부문은 10월 21일 3.15아트센터 대극장에서 국악 합주 무대를 시작으로, 10월 30일부터 31일까지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에서 관악·관현악 합주와 합창 공연이 열린다. 이어 11월 4일에는 김해서부문화센터 하늬홀에서 뮤지컬과 케이팝 공연이, 11월 26일에는 통영국제음악당 대극장에서 관악·관현악 합주 및 합창 공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 상생의 비전을 제시하는 감성 회복의 장

이번 축제는 단순한 예술교육 발표회를 넘어, 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학생들이 길러온 자유롭고 창의적인 예술 역량을 나누는 어울림의 장으로 마련된다. 학교별로 준비한 국악, 관현악, 관악 합주, 합창, 뮤지컬, 밴드 공연으로 관객과 학생이 함께 소통하고 공감하며, 예술을 통해 정서적 감수성과 협업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학생들은 섬세한 감수성과 창의적 표현을 담아낸 미술 작품을 통해 학교예술교육의 다양한 성과를 입체적으로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경남교육청은 행사 이후 공연 영상과 작품 사진을 아이톡톡 게시판과 유튜브 채널에 게시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서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박종훈 교육감은 “예술은 우리 모두를 하나로 묶어주는 가장 강력한 매개체”라며, “이번 축제는 학생들이 자신의 빛나는 순간을 펼치고,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며 모두가 함께 이어지는 살아있는 교육 경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경남교육청은 앞으로도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교 예술교육 지원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교육청]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