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오세훈 시장, 16일(일) ‘2025 서울 쉬엄쉬엄 런’ 참여

  • 등록 2025.11.16 22:30:41
  • 조회수 0

 

[참좋은뉴스=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은 16일 오전 9시 상암월드컵공원 평화광장에서 열린 ‘2025 서울 쉬엄쉬엄 런’에 참여해 시민들과 함께 걷고 뛰며 응원의 메시지를 전했다.

 

‘서울 쉬엄쉬엄 런’은 지난 8월 오 시장과 함께 남산 북측숲길을 찾은 정희원 서울시 건강총괄관이 초보자들도 부담없이 걷고 뛸 수 있는 일명 ‘느림보 대회’를 제안하면서 마련된 행사다.

 

올해 처음 열린 ‘서울 쉬엄쉬엄 런’은 남녀노소 누구나 나만의 페이스로 걷고 뛰며 즐기는 러닝 프로그램이다. 평화광장을 출발해 별자리광장~메트로폴리스길~구름다리~메타세쿼이아길을 지나 출발점으로 되돌아오는 일반 러닝대회보다 짧은 5km 순환코스로 초보 러너나 운동 입문자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특히 이날 행사는 참가자 1,000명 모집이 이틀 만에 조기 마감되는 등 시민들의 인기가 높았으며, 사전접수를 못한 시민들도 현장에서 참여할 수 있도록 ‘체력인증 프로그램’과 ‘서울구석구석 라이브공연’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진행됐다.

 

출발 전 오 시장은 “쉬엄쉬엄 런은 기록이나 경쟁없이 마음 편안하게 건강을 챙기면서 추억을 만드는 날”이라며 “운동이 일상에서 습관이 되는 라이프스타일 변화로 서울시민 모두가 장수하는 몸 건강은 물론 먹거리도 건강한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며 시민들의 안전하고 즐거운 완주를 응원했다.

 

이날 대회에는 가족 단위 참가자부터 반려견과 함께한 시민까지 다양한 러너들이 참가했다.

 

초등학생 두 자녀와 함께 일가족으로 참여한 한 시민은 “올해 온 가족이 함께할 수 있는 활동 중 하나가 마라톤이었는데 5km 코스라 어린아이들도 부담 없이 뛸 수 있을 것 같아 기쁜 마음으로 신청했다”고 말했다.

 

반려견 2마리와 함께 참여한 부부는 "강아지들이랑 같이 걸을 수 있는 코스라 자연스럽게 산책도 되고 편안한 분위기여서 가벼운 마음으로 참여했다“고 말했다.

 

대회 출발에 앞서 오 시장은 가수 겸 배우 한승연과 배우 이재윤, 스트렝스 코치 김은서를 ’쉬엄쉬엄 런‘ 홍보대사에 위촉하고, 앞으로 1년간 시민들의 운동 습관은 물론 건전한 러닝문화 확산에도 힘을 더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홍보대사로 위촉된 가수 겸 배우 한승연은 “이른 시간임에도 많은 시민들께서 함께해 주신 모습을 보니 건강도시 서울의 미래가 더욱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시민 여러분과 함께 꾸준히 운동하며 건강한 생활문화를 만드는 데 동참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2030년까지 서울시민의 운동 실천율 3%p, 시민체력등급은 3등급 높여 건강수명을 3살을 더 늘리는 '더 건강한 서울 9988-3·3·3·3'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뉴스출처 : 서울특별시]


정치

더보기
안산시 상업용 현수막지정게시대 민간위탁 동의안 부결
[참좋은뉴스= 김태형 기자] 지난 11월27일부터 31일까지 개최된 안산시의회(의장 박태순) 제299회 임시회에서 가장 주목받는 사안은 단연 ‘안산시 상업용 현수막지정게시대 민간위탁 동의안’일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 동의안은 부결됐다. 이미 시민들의 저항이 심할 것임이 예견된 안건이었다. 안산시민사회연대는 10월23일, “시민의 신뢰를 저버리는 행정, 특혜와 비리의 고리를 다시 이어서는 안 된다”며 ‘안산시 상업용 현수막게시대 민간위탁 추진 철회 촉구’ 성명서를 발표한 바 있다. 안산시민사회연대는 성명서를 통해 “현수막게시대의 민간위탁은 이미 안산시 행정의 부패 구조와 관언 유착의 상징으로 기록돼 있다. 이러한 역사적 교훈을 외면한 채 다시 위탁을 추진한다면, 안산시는 ‘청렴과 시민감동’을 내건 시정 철학을 스스로 부정하는 셈이다”라며 “수많은 문제점이 연이어 발생했다. ▲현수막 제작이익 독점 의혹, ▲특정업체의 장기 게시, ▲게시기간 초과 및 신고수수료 누락, ▲지정공간 외 게시 등 각종 불법과 특혜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심지어 선거 시기에는 특정 언론사와 업체의 결탁을 통한 정치적 개입과 공직선거법 위반 의혹까지 드러나며 시민사회의 분노를 샀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