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오산시,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와 간담회 및 현장투어 진행

  • 등록 2025.11.20 13:12:02
  • 조회수 0

오산시와 함께 어플라이드 컬래버레이션 센터 코리아 프로젝트 논의

 

[참좋은뉴스= 기자] 오산시는 18일 오전,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pplied Materials) 본사 관계자와 간담회를 갖고 가장동 일원에 조성될 어플라이드 컬래버레이션 센터 코리아 건립 추진상황과 향후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권재 오산시장, 사티시 쿠푸라오(Satheesh Kuppurao)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반도체 운영 총괄 부사장, 박광선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 대표, 오흥식 오산상공회의소 회장(엘오티배큠 대표이사)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권재 시장은 모두발언에서 “오산 가장동 일원에 세계적인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업체인 어플라이드 컬래버레이션 센터가 들어서게 된 것을 진심으로 환영한다. 지난해 오산시가 미국 본사 메이단 기술센터를 방문한 이후 약 1년 만에 어플라이드 본사에서 오산시를 방문해주심에 감사하다”며 “오산시는 어플라이드 컬래버레이션 센터 코리아 건립을 위해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해 지원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사티시 부사장은 “어플라이드 컬래버레이션 센터 코리아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설립될 수 있도록 다양한 행정적 지원을 해주신 데 감사드린다. 어플라이드 컬래버레이션 센터가 국내 반도체 산업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경기도와 오산시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화답했다.”

 

간담회 전, 오산시와 어플라이드 사티시 부사장, 박광선 대표 등은 오산시 가장동 내 센터 건립 예정 부지를 함께 방문해 현장을 둘러보고, 센터 건립 일정과 추진 현황에 대한 브리핑을 진행했다.

 

이권재 시장은 “지난 6일 세교3지구 지정을 위한 마지막 관문인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했으며, 연내 세교3지구 지정이 공식 발표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지구지정은 오산시가 『반도체 클러스터와 연계된 자족도시』로 진화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이며, 오산시가 반도체 특화도시로 도약하는 데 어플라이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협조를 당부했다.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선도 기업이다.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 경기도와 체결한 투자협약에 따라 어플라이드 컬래버레이션 센터 코리아는 고객사와 산업 생태계를 위한 연구개발 허브로 조성될 계획이다.

 

한편, 오산시는 세교3지구 지정이 임박한 가운데 해당지역에 30만 평 규모의 첨단테크노밸리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어플라이드 컬래버레이션 센터 코리아를 중심으로 첨단산업 연구시설과 반도체 협력기업을 적극 유치하여 반도체 중심의 첨단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뉴스출처 : 경기도 오산시]


정치

더보기
안산시 상업용 현수막지정게시대 민간위탁 동의안 부결
[참좋은뉴스= 김태형 기자] 지난 11월27일부터 31일까지 개최된 안산시의회(의장 박태순) 제299회 임시회에서 가장 주목받는 사안은 단연 ‘안산시 상업용 현수막지정게시대 민간위탁 동의안’일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 동의안은 부결됐다. 이미 시민들의 저항이 심할 것임이 예견된 안건이었다. 안산시민사회연대는 10월23일, “시민의 신뢰를 저버리는 행정, 특혜와 비리의 고리를 다시 이어서는 안 된다”며 ‘안산시 상업용 현수막게시대 민간위탁 추진 철회 촉구’ 성명서를 발표한 바 있다. 안산시민사회연대는 성명서를 통해 “현수막게시대의 민간위탁은 이미 안산시 행정의 부패 구조와 관언 유착의 상징으로 기록돼 있다. 이러한 역사적 교훈을 외면한 채 다시 위탁을 추진한다면, 안산시는 ‘청렴과 시민감동’을 내건 시정 철학을 스스로 부정하는 셈이다”라며 “수많은 문제점이 연이어 발생했다. ▲현수막 제작이익 독점 의혹, ▲특정업체의 장기 게시, ▲게시기간 초과 및 신고수수료 누락, ▲지정공간 외 게시 등 각종 불법과 특혜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심지어 선거 시기에는 특정 언론사와 업체의 결탁을 통한 정치적 개입과 공직선거법 위반 의혹까지 드러나며 시민사회의 분노를 샀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