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서구청소년문화의집 시소센터,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 환경 실천 확대...

  • 등록 2025.11.26 18:32:06
  • 조회수 0

재활용품을 활용한 시소센터만의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프로그램

 

[참좋은뉴스= 기자] 서구청소년문화의집 ‘시소센터’는 올해 하반기 동안 다양한 연령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업사이클링 및 리사이클링 주제로 ‘청소년수련활동인증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는 청소년이 안전하고 유익한 청소년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일정 기준에 따라 심사하여 프로그램을 인증하는 국가인증제도로, 시소센터는 새활용(up-cycling), 재활용(re-cycling)을 주제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청소년들에게 환경·자연보호, 기후위기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있으며, 총 5개의 인증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

 

첫 번째로 진행된 프로그램은 병뚜껑의 ‘껑’+업사이클링의 ‘사이클링’을 합친 이름의 ’껑사이클링‘ 프로그램이다. 병뚜껑에 비즈, 스티커, 그림 등을 넣고 레진으로 채워 굳혀 나만의 자석을 만드는 병뚜껑 재활용 활동이다.

 

두 번째로 진행된 프로그램은 ’폐신발 화분만들기‘로 버려진 신발에 피시본과 하트선인장 같은 다육이 식물을 심어 예쁜 화분으로 재탄생시키는 폐신발 재활용 활동이다.

 

세 번째로 진행된 프로그램은 ’폐현수막 리사이클링‘으로 앞선 활동들은 재활용품의 모양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업사이클링 활동이지만, 이 활동은 폐현수막이라는 재료가 완전히 변형되어 폐현수막을 가위로 오리고 바느질을 한 후, 슈링클스 키링을 달아 꾸며 가방의 모습으로 바꾸는 리사이클링 활동이다.

 

네 번째로 진행된 프로그램은 쓰리사이클링으로 3D펜의 ’쓰리‘+업사이클링의 ’사이클링‘을 합친 말이다. 이 프로그램은 유리병을 업사이클링 하는 활동으로 3D펜을 활용하여 가을 단풍잎들을 만들어보고, 유리병 안에 조명을 넣어서 나만의 가을 숲 풍경을 표현해 보았다.

 

전년 대비 올해는 흥미로운 교육 영상과 환경 넌센스 퀴즈, 환경 레크리에이션 등 청소년들의 흥미를 높일 수 있는 콘텐츠를 추가로 도입해, 청소년들이 재활용품을 활용한 환경보호 활동에 참여함과 동시에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재미있는 방법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고, 이 덕분에 청소년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도 높아졌다. 프로그램을 통해 제작된 리사이클링 및 업사이클링 작품들은 11월 1일 상무지구 차없는거리에서 진행된 ’치평동한마음축제‘의 부스에서 전시됐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청소년들은 자신이 직접 만든 작품이 전시되는 것을 보며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다.

 

다섯 번째로 진행 예정인 폐동화책 업사이클링 프로그램은 이번 달 11월 29일에 진행될 예정이며 12월 크리스마스의 달을 맞아 버려진 동화책을 활용하여 크리스마스트리 팝업북을 만드는 활동이다. 일정 및 모집은 기관 SNS(인스타그램 및 페이스북)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시소센터는 서구 치평동에 위치한 청소년문화의집으로, 광주광역시 서구청의 지원을 받아 사단법인 화월주에서 운영하고 있다. 청소년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과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이외의 다양한 청소년 활동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서구청소년문화의집 시소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뉴스출처 : 서구청소년문화의집]


정치

더보기
안산시의회 최찬규 의원, 사할린 동포 1세대 아카이빙 조속한 구축 필요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최찬규 안산시의원(사동·사이동·해양동·본오3동)은 지난 11월 24일 열린 제300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에서 사할린 동포 1세대의 생애를 기록으로 보존하기 위한 아카이빙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촉구했다. 최찬규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사할린 동포의 이주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과 노동력 수탈 등의 결과였으며, 해방 이후에도 귀국이 허용되지 않아 오랜 기간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안산에는 약 900명의 사할린 동포가 거주하고 있으며, 1세대는 80~90대 고령층이다. 최찬규 의원은 정부와 안산시가 주거, 의료 등 정착 지원을 이어왔지만, 강제이주와 사할린 생활, 귀국, 정착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당사자의 목소리로 체계적으로 기록한 사업은 추진된 바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아카이빙 사업이 1세대 생애 보존과 지역 현대사 자료 확보, 정서적 회복 지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카이빙은 단순 인터뷰가 아니라 영상, 음성, 문서 등 여러 방식으로 생애를 정리하는 공적 기록 작업이라는 점도 덧붙였다. 한편 안산시가 제출한 2026년도 본예산안에는 해당 사업이 반영되지 않았다. 최찬규 의원은 “정착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