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제주개발공사,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5년 연속 최고 등급

  • 등록 2025.11.26 18:32:14
  • 조회수 0

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협 시행, 지역사회공헌 노력 평가제도

 

[참좋은뉴스=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사장 백경훈)는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공동 시행하는 ‘2025년 지역사회공헌 인정제’에서 5년 연속 최고 등급(S)을 받아 지역사회공헌 인정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지역사회공헌 인정제는 기업·기관이 보유한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해 지역사회 내 비영리단체와 협력하고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한 활동을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제도다.

 

올해 제주개발공사는 환경·추진체계·네트워크·성과 영향·투명경영 등 전 영역에서 최고 수준인 ‘5단계(확산)’ 평가를 받았다.

 

이번 성과는 제주개발공사가 해양환경 보호·문화예술 후원·사회적책임경영 고도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 모델을 제시해 온 공로가 반영된 결과이기도 하다.

 

올해 제주개발공사는 ‘플라스틱 없는 제주 바다’를 목표로 전국 최초로 지자체와 협업해 플로깅 모바일 앱을 개발·운영하며 도민·관광객 참여 기반의 자원순환 문화를 확산시켰다. 또한 제주해양경찰청과 도내 수협, 어민 등과 협력한 투명 페트병 수거 프로젝트는 제주 해양환경 보전의 대표 협업 모델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활동 성과로 공사는 올해 ‘해양경찰의 날’을 기념해 대통령 단체표창을 수상하기도 했다.

 

제주개발공사는 이뿐 아니라 지역 문화·예술생태계 지원에도 적극 나서며 최근 지방공사 최초로 ‘문화예술후원 우수기업’ 정부 인증을 획득하는가 하면, 국제표준(ISO26000)에 기반한 공사의 사회적책임경영 체계 구축과 사업 추진 고도화가 인정돼 기획재정부 장관상을 받는 등 공기업 ESG 경영의 모범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각 분야의 성과들이 시너지를 이뤄 올해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평가에서도 최고 등급 유지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백경훈 제주개발공사 사장은 “제주개발공사가 5년 연속 최고 등급을 받게 된 것은 도민과 지역사회, 그리고 여러 협업 기관과 기업이 함께 만들어낸 성과”라면서 “우리가 추진해 온 플로깅 앱 개발, 투명 페트병 수거 프로젝트, 문화예술 후원, 사회적책임경영 고도화 등은 단순한 CSR 활동을 넘어 도민과 함께 지속 가능한 제주를 만들기 위한 실천”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백경훈 사장은 “앞으로도 환경·문화·복지·상생의 가치를 아우르는 사회공헌 체계를 강화하고, 정량·정성 성과를 투명하게 관리하며, 지역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공기업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피력했다.


[뉴스출처 : 제주개발공사]


정치

더보기
안산시의회 최찬규 의원, 사할린 동포 1세대 아카이빙 조속한 구축 필요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최찬규 안산시의원(사동·사이동·해양동·본오3동)은 지난 11월 24일 열린 제300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에서 사할린 동포 1세대의 생애를 기록으로 보존하기 위한 아카이빙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촉구했다. 최찬규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사할린 동포의 이주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과 노동력 수탈 등의 결과였으며, 해방 이후에도 귀국이 허용되지 않아 오랜 기간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안산에는 약 900명의 사할린 동포가 거주하고 있으며, 1세대는 80~90대 고령층이다. 최찬규 의원은 정부와 안산시가 주거, 의료 등 정착 지원을 이어왔지만, 강제이주와 사할린 생활, 귀국, 정착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당사자의 목소리로 체계적으로 기록한 사업은 추진된 바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아카이빙 사업이 1세대 생애 보존과 지역 현대사 자료 확보, 정서적 회복 지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카이빙은 단순 인터뷰가 아니라 영상, 음성, 문서 등 여러 방식으로 생애를 정리하는 공적 기록 작업이라는 점도 덧붙였다. 한편 안산시가 제출한 2026년도 본예산안에는 해당 사업이 반영되지 않았다. 최찬규 의원은 “정착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