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제주도, ‘근로복지·지역상생 거점’ 금능농공단지 복합문화센터 개소

  • 등록 2025.11.26 20:10:05
  • 조회수 0

26일 금능농공단지서 개소식 개최…근로자·지역주민 100여 명 참석

 

[참좋은뉴스=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가 근로자 복지와 지역상생을 위한 새로운 산업지원 거점을 마련했다. 26일 금능농공단지에서 문을 연 복합문화센터는 입주기업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과 청년 인구 유입을 동시에 겨냥한 상생형 공간이다.

 

제주도는 이날 금능농공단지 복합문화센터 개소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복합문화센터는 2022년 한국산업단지공단 공모사업에 선정됐다. 국비 26억 원, 도비 29억 원 등 총 55억 원이 투입돼 연면적 1,399㎡, 지상 3층 건물로 완공됐다.

 

센터는 기숙사, 다목적 문화공간, 체력단련실, 음식점 등 복지·주거·문화 기능을 갖춘 복합형 시설로, 근로자 주거 안정과 문화생활을 한 번에 해결하는 통합 거점으로 설계됐다.

 

이날 개소식에는 오영훈 제주도지사, 지역 주민, 입주기업 대표 및 근로자,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새 공간의 출범을 함께 축하했다.

 

금능농공단지는 지난해 750억 원의 매출과 10개국 수출 실적을 기록하며 제주 제조산업의 중심으로 성장했다. 이번 복합문화센터 개소는 성장세를 뒷받침할 근로환경 개선의 핵심 인프라가 될 전망이다.

 

근로자 편의 증진뿐 아니라 지역 주민과의 교류 공간으로도 활용되면서, 농공단지와 지역사회 간 상생 구조를 만들어낼 것으로 보인다.

 

오영훈 지사는 “아름다운 복합문화센터 건물과 하늘 뷰가 잘 어우러져 금능농공단지가 더 크게 발전할 것이라는 기대가 든다”며 “기업이 성장해야 일자리가 창출되고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해지므로 기업 경쟁력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입주기업들이 지역사회 성장의 주체가 돼 제주 산업을 견인해주길 바란다”며 “기업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함께 응원하는 것이 지역 발전의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김태윤 금능농공단지 입주기업체협의회장은 “도내 대정․구좌․금릉 3개 농공단지 복합문화센터가 같은 해 모두 개소하는 것은 어디에서도 이루지 못한 성과”라며 “복합문화센터 공간이 우리 삶에 긍정적 변화와 혁신을 가져다주고, 금능농공단지가 지속가능한 융복합 산업단지로 도약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복합문화센터를 중심으로 문화·체험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지역사회 교류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산업용지 및 물류 인프라 확충, 규제 합리화, 기술혁신 지원, 중소기업 경영지원 등 기업 성장 기반 강화 정책을 지속 추진해 금능농공단지의 경쟁력 제고를 뒷받침할 방침이다.

 

특히 금능농공단지가 제주 산업의 핵심 기반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다.


[뉴스출처 : 제주도]


정치

더보기
안산시의회 최찬규 의원, 사할린 동포 1세대 아카이빙 조속한 구축 필요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최찬규 안산시의원(사동·사이동·해양동·본오3동)은 지난 11월 24일 열린 제300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에서 사할린 동포 1세대의 생애를 기록으로 보존하기 위한 아카이빙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촉구했다. 최찬규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사할린 동포의 이주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과 노동력 수탈 등의 결과였으며, 해방 이후에도 귀국이 허용되지 않아 오랜 기간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안산에는 약 900명의 사할린 동포가 거주하고 있으며, 1세대는 80~90대 고령층이다. 최찬규 의원은 정부와 안산시가 주거, 의료 등 정착 지원을 이어왔지만, 강제이주와 사할린 생활, 귀국, 정착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당사자의 목소리로 체계적으로 기록한 사업은 추진된 바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아카이빙 사업이 1세대 생애 보존과 지역 현대사 자료 확보, 정서적 회복 지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카이빙은 단순 인터뷰가 아니라 영상, 음성, 문서 등 여러 방식으로 생애를 정리하는 공적 기록 작업이라는 점도 덧붙였다. 한편 안산시가 제출한 2026년도 본예산안에는 해당 사업이 반영되지 않았다. 최찬규 의원은 “정착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