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문화체육관광부, 전 세계인과 함께 즐기는 추석의 정취와 한글의 멋

  • 등록 2025.10.02 22:30:11
  • 조회수 0

20개국 23개 재외한국문화원에서 추석·한글날맞이 다채로운 문화행사 개최

 

[참좋은뉴스=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추석과 한글날을 맞이해 전 세계 20개국 23개 재외한국문화원에서 현지인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대규모 추석 행사부터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소재로 한 전통매듭 만들기 체험 행사까지 다채로운 문화행사 선보여

 

주워싱턴한국문화원은 스미스소니언 국립아시아예술박물관과 공동으로 10월 4일, ‘2025 추석맞이 문화행사(Chuseok Family Festival)’를 연다. 이는 2023년부터 매년 5천 명 이상이 참여해 온 한국문화원 대표 프로그램으로서, 올해는 워싱턴 디시(D.C)에서 한국 전통 민속 씨름을 처음 소개한다. ▴주프랑스한국문화원은 10월 1일부터 10일까지 항구 도시 ‘라로셸’에서 올해로 9회째를 맞이한 축제 ‘이곳이 한국(ICI EN CORÉE)’을 개최해 송편 만들기와 한복 체험, 민속놀이 등의 행사로 풍요로운 추석의 의미를 나눈다.

 

추석을 계기로 한국 영화도 만나볼 수 있다. ▴스웨덴에서는 10월 11일과 12일, 현지 아시아영화제와 연계해 ‘한국영화주간’을 운영한다. '국제시장', '아이캔스피크', '1987', '하얼빈' 등을 소개하고, ‘한가위 선물 보따리’ 경품 행사를 진행한다. ▴호주에서는 ‘2025 호주한국영화제’를 통해 지방 중소도시에서 무료 순회 상영을 해 현지인들이 한국 영화를 가까이 만날 기회를 제공한다.

 

전 세계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소재로 한 문화행사도 마련했다. ▴주필리핀한국문화원은 10월 6일부터 11일까지 ‘혼문을 지켜라(Protect the Honmoon: A Chuseok & Hangeul Day week-long celebration)’를 열고, 영화 속 주인공 루미가 진우에게 선물한 매듭 팔찌에서 착안한 한국 전통매듭 만들기, 캐릭터 더피(호랑이)와 서씨(까치)의 소재가 된 ‘작호도’ 그리기 체험 등을 진행한다. 이밖에 벨기에, 태국, 베트남 등에서도 전통 공연과 사물놀이, 송편 만들기 등으로 한국 명절의 정취를 전한다.

 

한국어 글쓰기·말하기 행사, ‘한글 트럭’ 순회 등으로 한글의 미적 가치 알려

 

▴주일한국문화원은 10월 9일, ‘한일교류 작문콘테스트 2025’와 ‘한글 캘리그래피 공모전 2025’를 개최한다. 올해 작문 경연대회에는 역대 최다인 4,455편이 접수됐으며, 초등학생부터 80대 할머니까지 폭넓은 연령층이 참여해 한글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주오사카한국문화원은 ‘한국어 글쓰기 모꼬지’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는 수준 높은 작품 280편이 접수된 가운데 심사를 거쳐 수상작을 선정하고 10월 11일에 온라인 시상식을 연다. 수상작은 한국문화원 누리집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미국(뉴욕)에서는 강익중 작가의 작품을 담은 ‘한글 트럭’이 지난 9월 26일부터 미동부 주요 대학(예일, 프린스턴, 컬럼비아 대학 등 5곳)을 순회하고 있다. 현지 청년들이 미래 비전을 다양한 언어로 입력하면 디지털 한글 작품으로 변환돼 ‘한글 트럭’의 미디어 벽에 전시된다.

 

이외에도 러시아의 ‘한국 시낭송 대회’, 남아공의 ‘한국어 말하기 대회’, 영국, 오스트리아, 헝가리의 ‘한글 멋글씨’ 체험 등 세계 곳곳에서 다채로운 행사를 열어 한글에 대한 높은 관심과 한국어 배우기 열기를 이어갈 예정이다.

 

문체부 윤양수 국제문화홍보정책실장은 “최근 '케이팝 데몬 헌터스' 열풍으로 우리 전통문화와 한글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더욱 높아진 가운데, 추석과 한글날을 맞이해 다양한 행사를 준비했다.”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현지인들이 우리 추석의 정취와 한글의 매력을 더욱 가깝게 느낄 수 있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뉴스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포항시 청정수소 자문 그룹 세미나 개최 … 청정수소 생산·도입 전략 논의
[참좋은뉴스= 김태형 기자] 포항시는 1일 포항테크노파크에서 포항시 청정수소 생산·도입 전략을 심화·구체화하기 위한 ‘제2회 청정수소 자문그룹 세미나’를 개최했다. 지난 7월 제1회 세미나에 이어 열린 이날 세미나에는 포항공과대학교, 경북대학교, 경일대학교, 에너지경제연구원, 포항테크노파크, 아헤스, 아람코코리아, 한국석유공사, 한국수자원공사, 경상북도, 포항시 등 산학연·기업·공공기관의 전문가 10여 명이 참석했다. 세미나는 ▲제1회 세미나 결과 공유 ▲포항시 청정수소 공급망 전략 구체화 ▲해외 청정수소 도입 협력모델 논의 순으로 진행됐다. 특히 영일만항을 거점으로 한 암모니아 터미널 및 저장 프로젝트와 암모니아-수소 변환, 철강 및 발전 분야 실증과 연계하는 방안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이를 통해 시는 지역 내 청정수소 생산·공급·저장·운송·활용 인프라 구축과 글로벌 협력 기반의 청정수소 도입 전략을 구체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김정표 일자리경제국장은 “이번 세미나는 청정수소 전문가들의 통찰을 공유하고 포항이 세계적인 수소경제 중심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밑거름을 마련한 뜻깊은 자리였다”며 “제시된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해 지역의 청정수소 생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