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5 정원도시서울 국제심포지엄…자연과 도시의 조화로운 공존 모색

  • 등록 2025.10.09 16:34:17
  • 조회수 1

서울시,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심포지엄 통해 자연과 조화로운 ‘정원도시 서울’ 미래 모색

 

[참좋은뉴스= 기자] 서울시는 오는 17일 동작구 전문건설회관 대회의실에서 자연과 도시의 조화와 공존, 정원의 미래 역할 등에 대해 논의하는'2025 정원도시서울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세 번째 자연’을 주제로 정원‧조경 분야의 국내외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일 예정이다.

 

이번 심포지엄은 ‘2025 서울국제정원박람회’의 학술행사와 올해 10주년을 맞은 ‘서울식물원 국제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하는 자리로 마련되어, 정원과 식물원, 조경과 공간 디자인까지 ‘도시와 자연’에 대한 각계 전문가의 관점을 폭넓게 만나볼 수 있다.

 

국외 연사로는 독일에서 활동하는 조경건축가 마크 크리거, 영국 그랜드 어소시에이츠 설립자 겸 대표 앤드류 그랜트, 싱가포르 가든스바이더베이 최고 경영자 펠릭스 로가 참여하며, 국내 연사로는 2025 서울국제정원박람회 메인무대를 연출한 마초의 사춘기 김광수 대표, 신구대학교식물원 원장 전정일 교수가 참여한다.

 

마크 크리거와 앤드류 그랜트는 각각 2025년과 2020년 서울국제정원박람회의 해외 초청작가로 참여했다.

 

세션 1에서 마크 크리거는 “2025 서울국제정원박람회의 'Aviators Garden'에 담긴 아이디어”라는 제목으로 첫 번째 주제발표를 진행하고, 앤드류 그랜트와 김광수 대표가 각각 “자연 속 도시”, “공간에 자연을 더하다. 바이오필리아 디자인”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간다.

 

세션 2에서는 전정일 교수의 “도시의 식물원, 생명과 인간을 회복하다”와, 펠릭스 로의 “가든스 바이 더 베이:자연의 변모, 도시의 재창조”를 주제로 한 발표를 들을 수 있다. 모든 발표 후에는 올해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총감독인 김영민 서울시립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연사 5인과 종합토론을 선보일 예정이다.

 

심포지엄 참여는 관계기관 및 시민 대상으로 9월 29일부터 10월 13일까지 구글폼을 통해 사전접수로 모집하며, 상세한 내용은 서울시 또는 서울국제정원박람회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원활한 진행을 위해 사전 접수를 통해서만 참석할 수 있으며 당일 현장 접수는 받지 않는다.

 

한편, 2025 서울국제정원박람회는 오는 20일 종료되어 5개월 대장정의 마무리를 앞두고 있다. 지난 5월 22일 개막해 9월까지 총 850만 명의 누적 관람객이 다녀가며 역대급 기록을 세우고 있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이번 정원도시서울 심포지엄은 서울국제정원박람회의 여정을 마무리하고 정원에 대한 세계적 관점과 담론을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라며 “특히 ‘세 번째 자연’이라는 주제를 통해, 자연과 도시가 공존하는 미래 정원의 가치를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서울특별시]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