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제3회 제주4·3영화제 단편 경쟁 ‘불란지’ 예선 결과 10편 선정

  • 등록 2025.10.10 16:31:45
  • 조회수 0

341편 접수, 지난해 대비 46편 증가 … 11월 당선작 4편 시상

 

[참좋은뉴스= 기자] 제주4․3평화재단이 주최하는 2025년 제3회 제주4․3영화제 단편 경쟁 ‘불란지’의 예선 심사 결과가 공개됐다.

 

6월 26일(목)부터 8월 7일(목)까지 총 43일 동안 출품작을 공개 모집했으며, 극 영화 270편, 다큐멘터리 17편, 실험 영화 8편, 애니메이션 44편, 에세이 1편, AI 1편 등 모두 341편이 접수됐다. 단편 경쟁 부문을 시작한 지난해 보다 46편이 늘어나며, 제3회 제주4․3영화제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주4‧3평화재단은 김보년 서울아트씨네마 프로그래머(전주국제영화제 등 심사 다수), 박소현 영화감독(서울국제여성영화제 등 심사 다수), 양동규 다큐멘터리 감독(제1~3회 제주4‧3영화제 집행위원), 한형진 기자(제3회 제주4‧3영화제 집행위원) 등을 예선심사위원단으로 위촉해 심사를 진행했다.

 

심사 결과 총 10편이 본선 진출작으로 선정됐다. ▲물질 ▲산의 뱃속 ▲산행 ▲살처분 ▲숲, 틈 ▲쇠둘레땅: 두루미마을의 탄생 ▲어둠은 중력을 지닌다 ▲ 팔레스타인을 위한 두 대의 카메라 ▲후잉 ▲K-ALMA-Q 등이다.(이상 가나다 순)

 

본선 진출작들은 전쟁, 팔레스타인 학살,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개발과 독재, 탈북, 광주5.18민주화운동, 생명 존중, 생태주의, 제주해녀 등 오늘 날 현대사회에서 현재 진행형인 주제들을 영상에 담아냈다.

 

예선심사위원단은 “본선 진출작들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자 한반도에 깊이 새겨진 전쟁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들이 눈에 띄었다”면서 “무엇보다 불란지 단편 경쟁을 처음 시작한 지난해 보다 공모에 참여한 작품의 숫자가 늘어난 점은 고무적인 일이다. 제주4‧3영화제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점점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불란지 단편 경쟁작은 ▲국가폭력과 불의에 대한 저항(4‧3, 독재, 분쟁, 학살, 폭력, 트라우마 등) ▲사회구조와 불평등(노동, 자본, 차별, 경계 등) ▲분단과 디아스포라(분단, 난민, 이주, 재일 등) ▲붕괴와 재건, 치유의 상상력(재난, 해체, 새로운 삶의 방식, 공동체 재구성 등)을 주제로 한 40분 이하의 단편 작품을 장르 제한 없이 모집했다.

 

단편 경쟁의 본선 심사는 11월에 열리는 제3회 제주4‧3영화제 기간 동안 진행된다. 본선심사위원단의 심사를 통해 최우수 작품상(상금 300만 원)은 1편, 작품상(상금 150만 원)은 극영화-다큐멘터리를 각각 1편씩 선정해 상금과 상패를 수여하고, 관객상(상금 50만원) 1편은 사전에 모집된 관객심사단들의 평가를 통해 선정, 상금과 상패를 수여한다.

 

제3회 제주4·3영화제는 11월 20일(목) 개막식을 시작해 24일(일) 폐막식을 끝으로 막을 내릴 예정이다.


[뉴스출처 : 4.3평화재단]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