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서울시, '서남권 대개조' 일환으로 공업지역 혁신전략 가동 신산업 중심의 복합혁신공간으로 대전환 추진

  • 등록 2025.10.28 11:31:43
  • 조회수 0

서남권 G밸리, 첨단산업과 녹지여가공간이 공존하는 산업거점으로 업그레이드

 

[참좋은뉴스= 기자] 서울시는 지난해 '서남권 대개조'를 발표하며, 노후 공업지역이 집중된 서남권 준공업지역을 첨단산업 중심의 미래 첨단·융복합산업 집적지로 전환하고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구축하겠다는 ‘준공업지역 혁신 및 산업혁신공간 종합전략’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서울시는 공업지역을 산업·주거·문화가 공존하는 미래 신산업 중심의 복합혁신거점으로 전환하기 위해 공업지역 유형별 관리방향, 권역별 미래전략산업, 공업지역정비구역 지정에 관한 기본 방향 등을 담은 '2040 서울 공업지역 기본계획(안)'을 마련했다.

 

'2040 서울 공업지역 기본계획'은 '도시공업지역의 관리 및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수립되는 법정계획으로 서울 전역의 공업지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신산업 공간 조성을 촉진하기 위한 균형발전 전략을 담고 있다.

 

또한, 공업지역 기본계획 수립과 병행하여 침체된 공업지역을 신산업 중심의 복합공간으로 재편하기 위한 ‘산업혁신구역’ 제도를 본격 도입 한다.

 

산업혁신구역은 대규모 공장 또는 공공시설 이전부지, 공업지역 내 미개발부지를 신산업 중심의 복합 거점 공간을 조성하여 준공업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한 공업지역정비 제도이다.

 

시범사업 후보지 공모는 2025년 11월 6일~2026년 1월 5일 60일간 진행되며, 선정위원회 심사를 거쳐 대상지 2개소 내외의 대상지를 선정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산업구조 변화와 도심 내 제조업 쇠퇴에 대응하여 공업지역을 새로운 성장 거점으로 재편하기 위한 방향을 공유하고 다양한 의견을 듣고자 공청회를 10월 30일 개최한다.

 

공청회에서는 '2040 서울 공업지역 기본계획(안)'과 관련하여 시민과 관계 전문가 등의 의견을 듣고, 산업혁신구역 시범사업 설명회도 함께 개최되어 제도취지, 신청요건, 평가기준 등에 대한 안내도 이루어진다.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기본계획에 반영하여 관계기관 협의, 시의회 의견청취 및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과정 등을 거쳐 공업지역 기본계획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아울러, 서남권 준공업지역의 한 축인 국가산업단지 G밸리 일대는 산업기능 강화와 더불어 해당 지역 내 부족한 녹지공간을 단계적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첨단산업 기반과 녹지여가거점이 조화를 이루는 산업공간으로 재편할 예정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지난해 발표한 서남권 대개조를 시작으로, 서울의 노후 공업지역을 신산업 중심의 미래 혁신공간으로 재편하는 작업이 본격화되고 있다”며 “이번 공청회를 통해 시민과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서울의 공업지역이 산업·주거·문화가 공존하는 복합혁신공간으로 재정립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고 밝혔다.


[뉴스출처 : 서울시]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