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양평문화재단, 제 5회 양강섬예술축제 11월 8일 갈산공원 축구장에서 개최

  • 등록 2025.10.28 20:10:26
  • 조회수 0

예술성과 대중성을 아우르는 무대

 

[참좋은뉴스= 기자] 양평문화재단은 오는 11월 8일 오후 2시 30분부터 '제5회 양강섬예술축제'를 갈산공원 축구장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다섯 번째를 맞이한 '양강섬예술축제'는 양평의 대표적인 문화 브랜드 예술제로 지역의 문화적 가치와 공동체 정신, 그리고 예술성을 조화롭게 담아내는 예술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국악 장르를 중심으로 ‘예술의 변화와 확장’을 주제로 삼아 양평군민에게 예술이 낯설지 않게 다가갈 수 있도록 표현의 스펙트럼을 넓히며, 예술성과 대중성의 균형을 모색하는 다채로운 공연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이번 '양강섬예술축제'는 지역의 전통 공연 단체와 해외 축제를 섭렵하고 있는 초청 공연 단체의 전문적인 예술 공연을 선보이며, 다가온 가을 향기와 함께 양평군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열린 축제로 예술과 일상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양강섬예술축제'의 첫 서막은 사물놀이 느닷의 권설후가 총감독을 맡아 지역 내 4개의 예술단체(양평청소년연희단 양사당패 꾼스, 전통연희단 고색창연, 강상두레패, 양평문화원 양강취타대)가 하나로 모여 활동하고 있는 △연희프로젝트 The 양평의 무대로 열린다. 연희프로젝트 The 양평은 양강섬예술축제의 시작을 알리는 흥겨운 풍물놀이를 펼칠 예정이다. 또 1997년 창단 이후 한국 전통음악의 현대화를 꾸준히 이어온 단체이자 국내외 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양평의 대표 예술단체 △월드뮤직그룹 공명은 ‘자연’을 주제로 한 재편곡 및 연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또한 섬세하고 감성 짙은 목소리로 한국 발라드의 한 축을 이끌어 온 가수 조관우와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보유자로서 전통예술의 깊이를 지켜온 조통달 명창의 콜라보레이션 무대(△조관우X조통달)가 준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2018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 무대로 세계적 주목을 받은 밴드 △잠비나이와 ‘범 내려온다' 가 삽입된 한국관광공사 홍보영상으로 5억 뷰를 돌파하며 대중의 많은 관심을 받은 얼터너티브 팝 밴드 △이날치의 공연이 이어지며, 예술성과 대중성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무대가 펼쳐질 예정이다.

 

한편 양평문화재단 박신선 이사장은 “'양강섬예술축제'가 예술과 문화를 중심으로 한 지역 대표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양평군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지역의 문화경쟁력을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행사 장소인 갈산공원 축구장 내 주차장은 매우 협소하고 당일 교통 혼잡이 예상되므로 대중교통 이용이나 도보 이동을 권장한다. 부득이하게 차량을 이용할 경우 갈산공원 주차장 및 양평읍 일대 제1~4 공영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다.


[뉴스출처 : 경기도 양평문화재단]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