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장군, 청정 농축산물과 함께하는 ‘제15회 철마한우불고기 축제’ 개최

  • 등록 2025.10.28 20:11:20
  • 조회수 0

10월 29일부터 11월 2일까지 철마면 철마도시농업공원에서 개최

 

[참좋은뉴스= 기자] 기장군은 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 2일까지 철마면 철마도시농업공원(철마면 개좌로 797-23 일원)에서 ‘제15회 철마한우불고기축제’가 열린다고 28일 밝혔다.

 

철마한우불고기축제는 철마한우불고기의 뛰어난 맛과 지역 청정 농축산물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철마한우불고기축제추진위원회(위원장 차원근) 주관으로 해마다 개최되고 있다. 매회 많은 방문객들이 찾아 성황을 이루며, 부산의 대표적 먹거리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올해 제15회를 맞이하는 철마한우불고기축제는 축제기간 내내 인기가수 등이 출연하는 무대 공연과 함께, 다양한 참여 이벤트와 체험프로그램이 마련돼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축제의 장이 될 전망이다.

 

주요 일정으로는 29일 축제 안전을 기원하는 고사를 시작으로, 식전공연, 개막식이 진행되며, 초대가수 설운도, 조정민, 유지광 등이 출연하는 ‘I-net TV 가요사랑 콘서트’가 펼쳐진다. 30일에는 앵두걸스 및 가수 최지예 등이 출연하는 ‘한우사랑 콘서트1’과 ‘시민 현장 노래자랑’ 등이 진행되고, 31일에는 한국수력원자력과 함께하는 ‘고리온데이’가 열린다. 11월 1일에는 ‘한우채끝 노래자랑’과 ‘한우사랑 콘서트2’가 열려 열띤 축제 분위기를 이어가며, 마지막 날인 2일에는 박군·나태주가 함께하는 ‘태군노래자랑’과 폐막식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이 밖에도 대형 한우 육회비빔밥 만들기, 한우 깜짝 경매, 로데오 게임, 지게 장사 여장부 선발대회 등 참여형 이벤트와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이 다채롭게 마련되며, 축제장 곳곳에는 꽃탑, 대형한우상 등 포토존을 배치하여 축제장을 찾은 가족, 친구들이 소중한 추억을 선사할 예정이다.

 

특히, 행사장 내 시중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한우를 구입하여 맛볼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농산물 직거래 장터에서는 기장 철마지역의 청정 농산물을 만날 수 있어 그 어느 때보다 멋과 맛이 가득한 풍성한 축제로 진행된다.

 

철마한우불고기축제추진위원회 차원근 위원장은 “이번 축제는 새로 조성된 철마농업도시공원에서 2년 만에 개최되는 만큼 남녀노소 누구나 함께할 수 있는 체험프로그램과 공연프로그램을 준비했다”라며, “많은 분들이 축제장을 방문하셔서, 춤과 노래를 즐기며 각종 체험과 먹을거리 등을 체험하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정종복 기장군수는 “이번 축제가 철마의 명품 한우불고기와 청정 농산물을 널리 알리면서, 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어우러지는 소통과 화합의 장이 되길 바란다”라며, “많은 분들이 축제장을 방문하셔서 전국 최고 품질의 철마한우불고기도 맛보시고 가족들과 소중한 추억을 남기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부산시 기장군]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