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퍼퓸, 고원희, ‘비주얼 쇼크’ 첫 촬영 현장!

- 고원희, “첫 단추를 잘 끼운 것 같아 안도와 설렘 증가!” 소감 전해!
- 고원희, 일생일대 기적을 정통으로 맞은 희대의 행운녀 등극?!
- KBS 2TV 월화드라마 "퍼퓸", 오는 6월 3일 첫 방송!

(미디어온) “대한민국 가장 ‘핫’한, 실체 불명 여자가 온다!”

KBS 2TV ‘퍼퓸’ 고원희가 초특급 ‘펑크 펌’ 헤어와 구수한 입을 장착한, ‘예쁜 노숙자’로 변신한 첫 촬영 현장이 공개됐다.

오는 6월 3일 첫 방송을 앞둔 KBS 2TV 새 월화드라마 ‘퍼퓸’은 창의적으로 병들어버린 천재 디자이너와 지옥에서 돌아온 수상한 패션모델, 내일 없이 살던 두 남녀에게 찾아온 인생 2회 차 기적의 ‘판타지 로맨스’ 드라마다.

무엇보다 고원희는 ‘퍼퓸’에서 환상적인 프로포션을 탑재한, 대한민국에서 가장 핫한 모델계의 라이징 스타 민예린 역을 맡아, 일생일대 기적을 정통으로 맞은 ‘희대의 행운녀’로 활약한다. 낮에는 신인 모델로, 밤에는 가사도우미로 이중생활을 하면서 실체가 불분명한, 은밀하게 살아가는 캐릭터를 쾌활하게 그려낼 예정이다.

이와 관련 고원희가 비주얼 쇼크를 선사하는 면모로 공원 벤치에서 울분을 터트리는 자태가 포착돼 눈길을 끌고 있다. 극중 민예린이 벤치를 침대로, 신문지를 이불을 삼아 노숙을 감행하는 장면. 분노로 이글이글 타오르는 눈빛을 한 민예린이 구수한 말을 내뱉으며 물티슈로 벤치를 힘껏 닦아내는데 이어, 신문지를 끌어안은 채 가방을 베고 누워 설움 가득한 눈물 흘린다. 국내에서 가장 핫한 모델계의 라이징 스타라는 수식어와 정반대의 포스가 눈에 띄면서 민예린이 울분을 한가득 품은 채 노숙을 하게 되는 이유가 무엇일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고원희의 이전에 볼 수 없던 대 변신이 돋보이는 ‘공원 노숙’ 장면은 지난달 19일 서울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한 공원에서 진행됐다. 고원희는 첫 촬영에 대한 설렘으로 물든 환한 웃음을 띠며 현장에 등장, 명랑한 기운을 뿜어내며 모든 스태프에게 일일이 인사를 건네 밝은 기운을 선사했다. 또한 본 촬영 같은 열정 가득한 리허설을 진행하면서 장면에 대해 여러 가지 의견을 내던 고원희는 촬영이 시작되자 순식간에 민예린에 몰입, 풍성한 장면을 완성하면서 현장의 열기를 드높였다.

첫 촬영을 마친 고원희는 “첫 촬영 전에 너무 설레고 떨려서 잠도 제대로 못 잤는데 막상 첫 촬영을 마치니 첫 단추를 잘 끼운 것 같아 조금의 안도와 함께 더 설렜다”며 “대본이 주는 재미를 시청자분들께 고스란히 잘 전달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현장에서 즐기면서 열심히 촬영에 임하겠다”고 당찬 포부를 내비쳤다.

제작진 측은 “고원희는 첫 촬영부터 맞춤옷을 입은 듯 민예린으로 완벽 변신, 캐릭터처럼 에너제틱한 모습으로 현장을 사로잡았다”며 “인생 2회 차 기적을 맞는 민예린의 꽁꽁 숨겨야만 하는 이야기를 감칠맛 나게 그려낼 고원희를 지켜봐 달라”고 전했다.

한편 KBS 2TV 새 월화드라마 ‘퍼퓸’은 6월 3일 첫 방송된다.

정치

더보기
안산시의회 박태순 의장, 市 정신건강복지센터 격려 방문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안산시의회 박태순 의장이 지난 3월 18일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를 방문해 관련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근무자들을 격려했다. 최근 정신건강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박태순 의장의 제안으로 마련된 이번 방문 일정에는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 회원 가족모임회장을 맡고 있는 안산양무리교회의 김희창 목사와 센터 회원 가족들, 안산시 단원보건소 관계자들도 참여했다. 박태순 의장이 찾은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는 ‘정진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난 1997년에 설립된 기관으로, 현재 총 36명의 인력이 안산시민의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의 예방과 정신장애인들의 사회복귀·회복을 위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태순 의장은 이날 현장에서 사업 내용과 운영 현황에 대해 설명을 듣고 센터 측과 회원 가족들의 애로사항을 파악했다. 특히 농작물 재배를 통해 자립과 사회성을 도모하는 외국의 공동체 사례를 소개하며 안산에 적용 가능한 정신건강 지원 사업 모델의 착안점을 제공하기도 했다. 아울러 지역 다문화 가정 아동들이 언어 장벽으로 정신적 스트레스가 많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들을 위한 지원 사업의 필요성을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