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안산 제조기업 체감경기 2022년 1분기 이후 최저...올해도 어렵다

안산지역 소재 125개 제조기업 대상 BSI 조사…1분기 BSI ‘65’ 기록
철강금속 제외 전 업종(석유화학, 목재종이, 전기전자 등) 악화 전망
원자재값 상승, 내수시장 침체 등으로 목표대비 매출실적 및 영업이익 ‘미달’ 예상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안산상공회의소(회장 이성호, 이하 안산상의)는 지난 1월 6일 안산지역 소재 제조기업 125개 사를 대상으로 2023년 1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65’(전국 74, 경기 68)로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 1분기 이후 최저 수준이다.

 

세부 업종별 BSI는 철강금속(100) 제외한 운송장비, 기계설비, 전기전자 등 대부분 업종에서 부진·침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22년 연초 목표 대비 매출실적의 경우 응답 기업의 60.0%가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답했다.

 

 

‘소폭 미달’은 42.4%, ‘크게 미달’은 ‘17.6%’로 나타났다.

 

영업이익 역시 응답 기업의 72.8%가 ‘미달’이라고 답했다.

 

이 중 ‘소폭 미달’이 45.6%로 가장 많았으며, ‘크게 미달’도 27.2%로 나타났다.

 

나머지 27.2%는 목표치 달성 또는 소폭 크게 달성으로 나타났다.

 

2022년 매출실적 및 영업이익 등 경영실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국내외 요인으로, 응답 기업의 41.6%가 ‘원자재 가격’을 꼽았다.

 

그 뒤로 ‘내수시장 경기(32.8%)’, ‘수출시장 경기(8.8%)가 뒤를 이었다.

 

기업들이 예상한 2023년 한국경제 성장률은 응답 업체의 88.8%가 국내‧외 주요 기관의 전망치(1.5%~2.0%)보다 낮을 것이라 답했으며, 그 중 9.6%는 마이너스 역성장을 전망했다.

 

2023년 한국경제를 위협하는 리스크 요인으로는 ▲물가‧원자재가 지속(34%), ▲내수경기 침체(22.4%), ▲고금리 지속(12%), ▲원부자재 수급 불안(10.4%), ▲고환율 장기화(9.5%), ▲수출둔화 장기화(4.6%) 순으로 집계됐다.(복수 응답)

 

리스크 요인을 관리하기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둬야 할 과제로 ‘환율 등 외한시장 안정(25.8%)’과 ‘자금조달시장 경색 완화(20.0%)’를 가장 많이 꼽았고, ‘규제혁신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15.8%)’, ‘공급망 안정화(13.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복수 응답)

 

안산상의 관계자는 “고금리, 고물가 상황이 계속되고 원자재‧에너지 가격상승 등 대외요인으로 인하여 새해에도 안산지역 기업들의 경영환경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며 “경제 리스크 관리를 위하여 정부가 역점을 둬야 할 주요 과제 중 하나로 ‘자금조달시장 경색 완화’를 꼽은 만큼, 기업들의 자금 여건 해결을 위한 정부 정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기업경기전망지수가 100 이상이면 ‘이번 분기의 경기를 지난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것을 뜻하고, 작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정치

더보기
경기도의회 정승현 의원, 중국 장쑤성 인민대표대회 우호협력대표단 경기도의회 방문 접견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와 중국 장쑤성 인민대표대회가 코로나19로 중단됐던 상호 교류를 재개했다. 지난 11월 3일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왕린(王林) 장쑤성 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비서장을 단장으로 하는 중국 장쑤성 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우호대표단 6명은 경기도의회를 방문하고 도의회 장쑤성 친선의원연맹과 만나 양 기관의 우호 증진 및 교류 확대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장쑤성 친선의원연맹 부회장 정승현(더불어민주당, 안산4) 의원은 “긴밀한 이웃 국가인 한중 양국은 정치, 경제, 문화, 역사 등에서 여러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며 “경기도의회와 장쑤성 인민대표대회 간 정례화된 교류 메커니즘을 통해 상호 간 우정을 쌓고 함께 발전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대표적 다문화도시 안산에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거주한다며 안산방문도 제안했다. 이에 왕린 부비서장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적교류와 협력이 부득이하게 중단된 사이 양 지역의 경제, 사회 발전은 새로운 진전을 이루었고 일련의 변화가 생겨났다”며 “그런 만큼 상호 방문을 더욱 강화해 앞으로의 교류와 협력이 새로운 성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도의회와 장쑤성 인민대표대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