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커피한잔의 여유> 세계문화유산 종묘(宗廟)에 가다

겉옷이 무겁게 느껴졌던 춘삼월, 성급한 봄꽃도 미소를 띠며 맞이한다. 보는 눈이 심심치가 않았다. 내가 사는 대부도는 아직도 만물들이 침묵하고 있는데 한국 제일의 도시는 공기가 확연히 달랐다.

올해 나의 버킷리스트는 고궁 도시 서울 투어다. 서울은 조선왕조 500년의 역사가 담겨있다. 정전이 있는 고궁이 5개다. 경복궁 창경궁 창덕궁 경희궁 덕수궁이다. 고궁은 검이불루(儉而不陋) 화이불치(華而不侈)라, 검소하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다.

모처럼 섬 아낙은 한양 나들이에 나섰다. 종묘(宗廟)를 향해 버스 타고 지하철도 갈아타면서 장장 세 시간 걸렸다. 마침내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역사의 현장 서울에 도착했다. 종로 3가에서 취미가 같은 조카며느리와 만나 유네스코가 지정한 자랑스러운 세계문화유산 종묘 탐방에 들어갔다.

 

나는 요즘 역사에 대해 관심이 많다. 특히 글쟁이들은 박학다식해야 한다. 아는 만큼 글 주머니에서 술술 나오기 때문이다. 해설사 내용이 머릿속에 쏙쏙 들어오도록 종묘에 대해 예습하고 갔다. 종묘를 둘러보며 한 시간 해설을 들었다. 왠지 아쉽다는 생각이 들어 다시 한 번 차근히 살펴보고 싶었으나 시간제한이 있었다. 단 주말에는 자유로운 관람을 할 수 있다고 했다.

 

종묘(宗廟)는 조선 시대의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600년 동안 제사를 지내고 있다. 사극에서 종묘사직이라는 말을 자주 듣곤 했는데 종묘는 왕과 왕비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고 사직은 사(社)는 땅의 신이고 직(稷)은 곡식의 신으로서 나라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제사를 지냈다. 태조임금은 궁궐 왼쪽에는 종묘를 오른쪽에는 사직단을 두었다. 갑자기 사극 한 대목이 생각난다. “저하께서는 이 나라의 종묘사직을 이끌어 가실 분이십니다.”

 

출입구 창엽문(蒼葉門)에 들어서자마자 박석(薄石)으로 된 울퉁불퉁한 길이 나온다. 곧은 길이 세 줄로 되어 있다. 마치 3차선 도로 같다. 조선 시대는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아 조상을 숭배하고 섬기는 것이 도리라 여겼다. 중앙에 길은 신의 길, 왼쪽(동쪽)은 왕의 길, 오른쪽(서양)은 세자의 길이었다.

 

또 박석(薄石)을 거칠게 만든 이유가 있었다. 경거망동하지 말고 몸가짐을 조심스럽게 하고 걸으라는 뜻이다. 고궁에 가면 건물이나 단청이 화려하고 주위에 풍경도 아름답다. 그러나 종묘에는 추녀마루 위에 잡상(雜像)은 있으나 색상은 단색으로 어둡고 엄숙하다. 꽃나무도 별로 없고 주로 향나무를 심었다.

 

나는 이번 탐방에서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고려 31대 공민왕과 노국대장공주를 모신 신당이 있었다. 조선왕조 신주를 모시는 곳에, 고려왕이 웬 말? 이성계는 공민왕이 고려의 왕이지만 개혁정치로 훌륭한 업적을 세웠다 하여 신당에 모시게 했다. 그리고 이성계는 자신의 5대 조상까지 영녕전(永寧殿)에 모셨다.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는 곳이 정전(正殿)인데 정전은 신실이 열아홉 칸이다. 물론 처음에는 규모가 작았다. 왕조 500년 동안 27대 왕이 이어졌으니 신실은 부족했다. 정전과 영녕전은 계속 증축되었다. 그러다가 종묘와 궁궐은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월산대군 집은 궁궐로 영의정을 지낸 심원섭의 집은 종묘로 삼아 모셨다. 임시 생활 15년, 마침내 1608년 종묘를 중건 광해군이 즉위한 해 완공되었다.

 

묘호는 임금이 돌아가시고 종묘에 모실 때 붙여진 이름이다. 조와 종으로서, 조로 부른 임금은 나라를 중흥시킨 임금이고 종으로 부른 임금은 평화롭게 나라를 잘 다스린 임금이다. 정전(正殿)과 영녕전(永寧殿)의 차이는 뭘까. 정전은 임금으로서 공덕이 뛰어난 49분의 신위가 모셔진 곳이다. 들어오는 문이 세 개인데 남문은 신이 드나들고 동문은 사람들이 서문은 악공들이 드나드는 문이다. 영녕전(永寧殿)은 16칸의 신실이 있고 지붕 모양이 다르다. 중앙 4칸은 지붕이 높다. 태조임금의 선조 신실이다. 영녕전은 정전에 모시지 못한 임금과 실제 보위에 오르지 못하고 세상 떠난 후 왕의 칭호를 받은 분들이다. 또한, 임금의 어머니로서 정식 왕비가 아니라 하여 다른 곳에, 모셔졌던 후궁 칠궁도 이곳에 모셔졌다.

 

종묘에는 악공들이 대기하던 악곡청이 있다. 제사를 지낼 때 악기를 연주하고 춤을 추기도 한다. 나는 여러 번 귀를 의심했다. 종묘제례악이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단다. 더 놀라운 사실은 제례악 정대업(定大業)과 보태평(保太平)이란 곡이 우리가 가장 존경하는 세종대왕이 만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춤에는 문무(文武) 무무(巫舞)가 있다. 문무는 역대 선왕의 문덕(文德)을 기리며 보태평(保太平) 곡에 맞춰 춤을 추었고 무무는 선왕들의 무공을 칭송하며 정대업(定大業) 곡에 맞춰 춤을 췄다. 조선 시대 왕실은 조상숭배는 인간의 도리이자 나라를 다스리는 가장 중요한 법도로 여겨왔다. 수많은 세월이 흐른 지금은 뭐든지 최첨단 시대로 달려가고 있어 너무 동떨어진다.


정치

더보기
김태희 경기도의원, 반월동 경기모바일고 엘리베이터 설치 추진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김태희 경기도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2)은 지난 7월 18일 “경기도교육청으로부터 반월동 경기모바일과학고등학교 내 장애인용 승강기를 설치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반월동에 위치한 경기모바일고는 지난 1967년 개교해 현재 안산 내 특성화고등학교 중 유일한 공립학교로 400명의 학생과 75명의 교직원이 있다. 김태희 도의원은 지난 6월 경기도교육청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으로 경기 지역 초중고 학교 내 장애인용 승강기 설치 운영 실태를 점검하며, 안산 반월동 경기모바일고 엘리베이터 미설치 문제와 설치 필요성을 적극 요청했다. 또한 장애인만 이용하는 장애인용 승강기 사업보다는 학생과 교직원 모두의 편의시설인 만큼 사업명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과 안산교육지원청은 경기모바일고를 직접 방문해서 학교 관계자와 간담회를 가졌다. 그 결과 학교에서는 현안수요사업 신청서를 제출해, 도교육청 학교안전과로부터 2026년까지 계속비 사업으로 5억 1670만원을 배정 받았다. 현재 설계용역이 진행 중이며, 앞으로 하반기에 공사가 착공돼 2026년 3월 목표로 준공될 계획이다. 김태희 도의원은 “학교 내 장애인 학생의 이동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